|
쿠바의 반정부 인사 16명이 지난해 9월 쿠바 수도 아바나의 한 장소에 모여 정치범 석방과 정치적 억압 중단, 유엔인권규약 비준, 쿠바 시민사회 인정 등 4개항을 정부에 요구하기로 합의했다. 요아니 산체스의 블로그 ‘제너레이션 Y’. 아바나/박현 특파원
|
[쿠바 개혁·개방 현장을 가다] (2) 점진적 정치개혁
쿠바 정부가 개혁을 진행중이라고 하지만, 쿠바에선 여전히 일반 시민들에 대한 국가기관의 감시체제가 촘촘히 작동하고 있는 듯했다. 아바나에서 만난 시민들은 옆에 다른 시민이 있으면 자신의 정치적 견해를 밝히는 것을 꺼렸다. 자칫 체제 반대자로 낙인 찍힐 것을 두려워 하는 듯했다. 그래서 인터뷰를 할 때는 한사람씩 따로따로 해야 했다. 익명을 요청한 50대의 한 국영기업 간부는 “쿠바 사람들은 두 사람이 있으면 속마음을 잘 드러내지 않는다. 경찰에 신고당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쿠바 경찰은 구역별로 주민감시체제를 유지하고, 밀고자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언론과 집회의 자유도 허용되지 않는다. 언론은 국영방송과 공산당 기관지만이 존재한다. 지난해 12월17일 미국과 쿠바간 국교정상화 선언 때 쿠바 정부가 정치범 53명을 석방한다는 조항이 있었으나 쿠바 시민 상당수는 이를 알지 못하고 있었다. 언론이 이런 내용을 다루지 않은 탓이다. 라울 카스트로 국가평의회 의장이 주도하는 개혁은 주로 경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국가의 직접 통제를 줄이는 대신 시장의 영역을 확대하려는 것이 그 뼈대다. 그러나 일부 자산의 사적 소유권을 인정하고 이윤 추구를 장려하는 이런 조처들은 정치적 함의 또한 내포하고 있다. 국가의 역할이 축소되면서 자연스럽게 시민들의 자율성이 커지고 시민사회 단체들의 활동 공간도 넓어질 수밖에 없다. 또 미국·유럽연합 등 서방국가들과의 관계개선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인권 개선이라는 요구조건도 수용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런 흐름 속에서 쿠바에서도 정치적 자유가 점차 확대되고, 시민사회의 공간도 넓어지고 있다. 정치적 자유 부문에서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정치범 석방이다. 국제 인권단체들의 통계를 보면, 쿠바 내엔 1990년대 말에 200~300명의 정치범이 투옥돼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 민주선거와 언론·집회 자유, 정치범 석방 등의 허용을 요구하는 청원서에 1만1000명이 서명한 사건을 빌미로 2003년 75명이 체포됐다. 이른바 ‘검은 봄’ 사건이다. 쿠바 정부는 2011년 유럽연합과 관계개선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검은 봄’ 사건 투옥자와 90년대 투옥자 등 모두 166명의 정치범을 석방했다. 여기에다 최근 미국과 관계개선을 추진하면서 미국이 정치범으로 규정한 53명을 올 1월 초 추가 석방했다. 이에 따라 장기 구금 중이던 정치범들은 대부분 석방한 것으로 추정된다. 국가 감시체제 아직 촘촘정치범들은 대거 석방
장기 구금도 줄어들어 가톨릭이 ‘정치 변화’ 주요 역할
최근엔 블로그 통한
사회비판 활발해져 “10년새 인권상황 많이 개선돼”
|
쿠바 수도 아바나에 있는 미라마르 성당에서 신학교 학생인 레안드로(왼쪽)가 1962~1997년 종교가 금지됐을 때 성당 문을 활짝 열지 못하고 비밀리에 미사를 지냈다고 설명했다. 옆에 있던 몸이 불편한 신자 쿨리안(59)이 성당에서 옷과 신발 등을 선물로 받았다며 활짝 웃고 있다. 아바나/박현 특파원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