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5.09.20 20:26 수정 : 2015.09.20 20:26

발전소·금융·무선전화망·병원 등
사회기반시설 손상 금지 내용
양국, 시진핑 방미때 발표 예정

미국과 중국이 상대국의 주요 사회기반시설(인프라)을 마비시키기 위한 사이버 무기 선제사용 금지를 핵심으로 한 사이버 군축 협상을 벌이고 있다고 <뉴욕 타임스>가 19일 보도했다. 신문은 두 나라간 협상이 타결되면 최초의 ‘사이버 군축 협정’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두 나라는 오는 24일 워싱턴에 도착하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미국 국빈방문 시기에 맞춰 이 협정을 발표하고자 최근 수주 간 협상을 서둘러왔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지난 16일 연설에서 “두 나라가 협상에서 뜻을 모으면 궁극적으로 다른 나라들도 끌어들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협상에 관여하는 미 행정부 고위 관리는 이 협정은 주요 사회기반시설의 사이버 공격 금지에 관한 ‘구체적인’ 언급은 포함하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그보다는 최근 유엔에서 채택한 행동규칙을 포괄적으로 수용하는 내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행동규칙은 “어떤 나라도 의도적으로 핵심 사회기반시설을 손상시키는 행동을 해서는 안 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신문은 이 협상이 현재 논의되는 수준에서 타결되면 발전소·금융시스템·무선전화망·병원 등에 대한 사이버 공격은 막을 수 있지만 중국이 진원지로 지목되는 수백만명의 공무원 인사자료 해킹 등 정보 수집 목적의 해킹은 막을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미국이 북한을 배후로 지목한 지난해 ‘소니픽처스 엔터테인먼트’ 해킹과 같은 사이버 공격을 막을 수 있을지도 분명하지 않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싱크탱크인 ‘미국진보센터’의 비크람 싱 국제안보담당 부소장은 이 협상에 대해 “사이버 공간이 핵무기나 생화학무기처럼 관리할 필요가 있는 군사력으로 간주되기는 처음일 것”이라고 의미를 평가했다.

박현 기자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