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현지시각) 미국 민주당의 대선 경선 후보인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의 발보아 공원에 있는 프라도 연회장에서 처음으로 자신의 주요 외교·안보 정책을 발표하고 있다.
샌디에이고/AP 연합뉴스
|
북핵·중국 문제 구체적 해법 없이
‘김정은과 대화’ 트럼프 비난 집중
“한·일 핵 허용론, 핵전쟁 인식 의문”
‘동맹 군사지원 중요’ 트럼프와 차별화
고립주의 맞서 “미국은 예외 국가”
미 패권·분쟁 개입 강조 ‘매파 본색’
미국 민주당의 사실상 대선 후보인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의 2일(현지시각)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연설은 그의 첫 ‘외교안보 구상’ 발표라는 점에서 관심을 모았지만 북핵이나 중국, 중동 문제 등에 대한 전체적 조감도나 구체적인 정책은 내놓지 않은 채 도널드 트럼프 공격에만 초점을 맞췄다. 그러나 그의 발언에서 그가 미국 대통령이 될 경우, 대북 압박 등 강경한 외교기조를 추진할 것임을 짐작하게 해줬다.
클린턴은 미국의 최대 외교안보 문제 가운데 하나로 등장한 북핵 문제에 대한 자신만의 해법을 제시하진 않았다. 대신, 클린턴은 트럼프를 공격할 목적으로 북한을 자극적인 용어로 비난했다. 북한을 “가학적 독재자가 이끄는, 지구상의 가장 억압적 국가”로 묘사하거나, 김정은 노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장이 북한 지도자가 된 것에 대해 “(고모부를 포함해 자신에게) 위협으로 여기는 모든 사람을 살해함으로써 그렇게 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북한과 대화하겠다는 트럼프가 제 정신이냐’는 뜻으로 말한 것이지만, 이런 발언들은 북한과의 관계개선을 모색할 때 상당한 외교적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클린턴은 이와 함께 “대북 압박을 위해 중국과의 협력”을 내세웠는데, 버락 오바마 행정부 등 역대 미국 행정부의 ‘중국 역할론’ 기조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셈이다.
이와 함께 클린턴은 트럼프와 자신을 대조하기 위해 ‘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한국·일본에 대한 군사지원 부담을 덜기 위해 한·일 핵무장 허용도 받아들이겠다는 트럼프에 대해 “그가 핵전쟁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음을 인식이나 하는지 의문”이라고 비판했다. 미국이 동맹인 한·일에 대한 핵우산 제공을 포기하고 자체 핵무장을 허용할 경우 동북아 핵경쟁을 부추기고, 더 나아가 핵전쟁을 유발할 수 있다는 논리다.
|
클린턴 미국 민주당 대선후보의 외교안보 관련 주요 발언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