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지 어니스트 백악관 대변인. AP/연합뉴스
|
“트위터 넷플릭스 NYT 등 총 76개 사이트 서비스 장애”
누구 소행인지 불분명…미 당국 “잠재적 모든 원인 조사중”
21일(현지시간) 오전 미국의 주요 인터넷 호스팅 서비스업체인 딘(Dyn)이 최소한 2번의 연속적인 대규모 해킹 공격을 받아 트위터 등 주요 사이트들이 먹통이 되거나 서비스가 지연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뉴햄프셔 주에 본사를 둔 딘은 "오늘 오전 7시 10분(동부시간) 도메인 네임 서비스(DNS)를 관리하는 메인 서버에 디도스(DDoSㆍ분산서비스 거부) 공격이 시작됐다"면서 "2시간이 지난 9시 10분께 문제를 해결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복구가 될 즈음에 또 다른 디도스 공격이 발생했다고 유에스에이투데이가 전했다.
해킹으로 먹통이 됐던 사이트는 트위터, 스포티파이, 넷플릭스, 레디트, 페이팔, 사운드 클라우드 등의 유명 웹사이트들과 뉴욕타임스(NYT), 워싱턴포스트(WP) 등 언론사들이 포함됐다.
처음 인터넷 장애 상황을 전한 IT 전문매체 기즈모도는 "이날 오전까지 총 76개의 사이트에서 서비스 장애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신고됐다"면서 "미국 인터넷의 절반가량이 마비됐다"고 말했다.
사이버 공격의 형태 중 하나인 디도스는 악성 코드로 조종받는 수많은 컴퓨터를 악용해 특정 웹사이트에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훨씬 뛰어넘는 수의 접속 요청을 하는 원리로 이뤄진다. 이 경우 정상적으로 해당 웹사이트를 사용하려던 사람은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없게 된다.
|
DNS 관리회사와 고객간 상호관계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