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7.01.23 15:58 수정 : 2017.01.23 21:35

2010년 지난 5월 중국 광둥성 선전의 폭스콘 공장 조립 라인에서 일하고 있는 노동자들의 모습. 선전/블룸버그 연합뉴스

폭스콘 대표 “미국에 디스플레이 패널 공장 건립 검토”
“애플 비롯한 파트너 회사들도 기꺼이 투자할 것”

2010년 지난 5월 중국 광둥성 선전의 폭스콘 공장 조립 라인에서 일하고 있는 노동자들의 모습. 선전/블룸버그 연합뉴스
전자기기 위탁생산 기업인 대만 폭스콘(홍하이)이 미국에 70억달러(8조1500억원) 규모의 디스플레이 패널 공장 설립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폭스콘은 애플 역시 이 공장에 투자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압박이 영향을 미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궈타이밍(미국명 테리 궈) 폭스콘 최고경영자는 22일 대만 타이페이의 폭스콘 본사에서 열린 종무식이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미국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텔레비전을 많이 소비하는 국가”라며 “폭스콘 역시 70억달러 규모의 디스플레이 패널 공장 건립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궈 회장은 “미국내 투자에 대해 주요 파트너 회사와 함께 논의할 예정인데, 애플을 비롯한 회사들도 기꺼이 투자할 것”이라고 말했다.

폭스콘의 이번 결정은 20일 취임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연설에서 ‘미국 우선주의’를 토대로 한 보호무역를 강화하겠다고 강조한 직후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궈 회장도 미국의 정치 상황을 언급하며 “보호무역주의의 부상은 피할 수 없다”고 밝혀, 간접적으로 신임 행정부의 보호무역 기조가 이번 투자에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2월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과 만난 자리에서 “소프트뱅크와 폭스콘은 각각 500억달러, 70억달러 규모로 미국에 투자를 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10만여명의 고용 창출 효과를 낼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궈 회장은 토지 비용이나 법인세 등 미국 연방·주 정부와의 세부 협의가 남아있다며, 아직은 계획 단계라고 했다.

애플, 소니 등 전자기기 브랜드의 위탁생산 업체인 폭스콘은 중국에서만 약 100만명의 노동자를 고용하고 있으며, 애플에 납품하는 아이폰도 연간 1억대에 이른다.

황금비 기자 withbe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