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무 틸러슨, 한·중·일 순방
한·일 방문 때 강경 발언과 달리
북핵 언급 없이 “미·중 공동대응
한반도 충돌 일어나지 않도록”
‘사드 보복’은 아예 언급 없어
중국과 정상회담 앞둬 입조심한듯
‘중국의 아시아 영향력 인정’ 뜻도
한국과 일본 순방에서 북핵 문제에 대해 ‘중국 책임론’을 강조하던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이 18~19일 중국 방문에선 강경한 발언 수위를 크게 낮췄다. 한국에선 고고도미사일방어(사드·THAAD) 체계에 대해서도 중국의 대한국 보복을 맹비난했으나, 정작 중국에선 별다른 언급이 없었다.
틸러슨 장관은 19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시진핑 국가주석을 만난 자리에서 미국과 중국의 관계 발전을 위한 협력을 강조했다. 틸러슨 장관은 “미국이 충돌과 대항을 피하고 상호존중, 협력 정신에 입각해 중국과의 관계를 발전시키고, 국제사회가 직면한 도전에 공동대응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양국의 공통이익이 불일치보다 훨씬 크고,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각도에서 중-미 관계를 봐야 한다”고 화답했다. 시 주석은 이어 “지역 현안 문제에서 소통과 협조를 강화하는 한편, 서로의 핵심 이익과 중대관심 사안을 존중해 양국관계를 안정시켜 나가자”고 당부했다. 중국은 그동안 사드의 한반도 배치에 대해 “중국의 핵심이익을 침해한다”고 말해왔다. 이날 북한 핵개발 문제에 대한 언급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별도로 틸러슨 장관은 특히 다음달 예정된 시진핑 주석의 방미와 별도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하고 싶다는 의사를 중국에 전달하는 등 유화적인 자세를 보였다.
|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왼쪽)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18일 오후 중국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미-중 외무장관회담 뒤 공동 기자회견을 마치고 회견장을 떠나고 있다. 베이징/연합뉴스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