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립주의 주창했지만 국제 문제에 개입하며 역할 떠안아
틸러슨·매티스·맥매스터·로스·쿠슈너 등 5명이 주도
정책 선회 섣부르다는 지적도…“트럼프 변덕이 가장 우려”
미국 우선주의와 고립주의를 주창해온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대외정책이 전통 주류 노선 쪽으로 방향 전환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미 정치전문 매체 <폴리티코>와 <월스트리트 저널>은 10일 시리아 공군기지를 전격적으로 공격한 예를 들며, 트럼프 행정부가 말로는 고립주의를 내세우지만 실제로는 국제 문제에 개입하며 미국의 역할을 떠안는 쪽으로 가고 있다고 했다. 이밖에 친러시아적인 태도는 옛일이 돼가고 있고, 중국과의 무역전쟁도 없으며, 트럼프가 폐기하겠다고 공언했던 이란 핵 합의도 폐기되지 않았고, 이스라엘 주재 미국대사관의 예루살렘으로의 이전도 이뤄지지 않았다고 했다. 오스트레일리아로 향하던 칼빈슨 항모 전단을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한반도 인근으로 보낸 것도 고립주의보다는 국제사회에서 미국의 역할을 떠안은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이런 움직임은 전통적인 공화당 대통령이나 민주당의 힐러리 클린턴이 취했을 법한 조처들이라고 평했다. 그러면서 트럼프의 대외정책을 이끌고 있는 이들로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 허버트 맥매스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윌버 로스 상무장관, 그리고 트럼프의 맏사위인 재러드 쿠슈너 백악관 선임고문 등 5명을 꼽았다.
|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
|
|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
|
|
허버트 맥매스터 국가안보보좌관
|
|
재러드 쿠슈너 백악관 선임고문
|
|
윌버 로스 상무장관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