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1회 피스보트 월드크루즈가 도착한 파나마 운하입구에 각종 화물선들이 운하를 따라 서서히 앞으로 가고 있다. 이정용 기자 lee312@hani.co.kr
|
수탈한 황금 운반 하던 길이 두 대양을 잇는 관문이 되어
쿠바 아바나를 출항한 직후부터 토파즈호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아니, 정확히 말해 심상찮은 건 바다였다. 항구를 떠난 지 불과 30분도 채 안돼 빗방울이 떨어지기 시작하더니, 어둠이 깔리기 시작하면서 바다가 온통 요동을 치기 시작했다. 일찌감치 침대에 누웠지만 성난 파도가 뱃전을 때려대는 소리에 쉽게 잠을 청할 수 없었다. 상하와 좌우로 움직이는 침대가 회전운동을 하기 시작하는 게, 항해 초기 태풍을 만났을 때를 떠올리게 했다. 카리브해에서 허리케인과 마주친 것이다. 이튿날 아침 선잠을 깨운 것은 함교에서 내보낸 ‘경고 방송’이었다. ‘허리케인 영향권에 들어 파도와 바람이 거세니 뱃머리 갑판은 폐쇄한다. 배가 심하게 흔들리고 있으니, 계단을 오르내릴 때는 반드시 손잡이를 잡고 이동하라. 선실에 깨질 수 있는 물건이 있으면, 반드시 바닥에 내려 놓기 바란다. 여성들은 절대 굽 높은 구두를 신지 말아달라….’ 이날 경고 방송은 두어 차례 되풀이됐고, 배 안 곳곳에는 낯익은 파란색 멀미봉투가 다시 비치됐다. 흔들리는 배 허리케인 영향권“여성들은 절대 굽 높은 구두 신지 말라” 지난달 27일 니카라과 해안에서 만들어진 열대성 폭풍 베타는 이튿날 허리케인으로 등급을 올렸다. 허리케인에 대한 공식 기록이 시작된 1851년 이후 처음으로 한해 23번째 허리케인이 발생한 것이다. 시속 17노트로 남진하고 있는 토파즈호가 40~50노트를 불어오는 강풍을 견뎌내기엔 역부족인 것처럼 보였다. 창 밖에선 토파즈호가 밀어내는 물살과 거센 파도가 만나 일으킨 포말이 비가 되어 내리고 있었다. 성난 파도와 강풍에 맞서기를 이틀 째, 연안이 가까워지는지 바다는 눈에 띄게 안정을 되찾기 시작했다. 1일 오전 파나마 크리스토바르 항구에 도착한 피스보트는 밤새 비를 맞으며 날이 밝기를 기다렸다. 이튿날 동이 틀 무렵 움직일 차비를 갖추기 시작한 토파즈호가 오전 7시40분께 천천히 리몬만으로 들어섰다. 지난달 14일 밤 지브롤터 해협을 지나면서 시작된 대서양 항해가 마침내 그 대단원에 다가서고 있는 것이다. 이제 대륙을 가로질러 파나마 운하 82km를 통과하면, 피스보트는 태평양으로 귀환하게 된다.
폭풍우를 똟고 파나마 들머리에 들어서다
|
51회 피스보트 월드크루즈가 들어선 파나마 운하에서 갑판에 나온 승선객들이 수문이 열리는 모습을 지켜보고 있다. 이정용 기자 lee312@hani.co.kr
|
두시간 남짓 산고 끝에 1차 관문 무사히 통과 후미 갑판으로 자리를 옮겼다. 갑판을 가득 메운 승객들이 배의 부상을 기다리는 동안 긴장된 침묵이 흐르고 있다. 그것도 잠시, 갑자기 누군가 탄성을 울려 내려다 보니 운하 바닥에서 흙탕물이 일고 있다. 이윽고 배의 수위가 천천히 높아지기 시작한다. 수위가 올라감에 따라 배도 점점 떠오르면서 언덕과 시선을 맞추는가 싶더니 이내 내려다 보이기 시작했다. 갑문에 물이 반나마 차오르면서 갑문 바깥 쪽과는 이제 육안으로도 물 높이 차이를 가늠할 수 있을 정도다. 간간이 빗발이 뿌리고 있는데도 승객들은 눈 앞에서 펼쳐지는 인간이 만든 경이로움에 넋을 잃은 채 열중하고 있다. 첫번째 부상이 끝났다. 넓이 33.53m, 길이 320m의 갑문에 무려 10만1천㎥의 물이 채워진 것이다. 갑문 최상단부까지 물이 들어차면서 토파즈호를 고정하고 있던 열차가 다시 움직이기 시작한다. 첫번째 갑문의 수위를 두번째 갑문의 수위와 맞추는 데는 불과 9분 남짓이 걸렸다. 오랜 만에 크루즈 선박을 만났는지 운하 직원들이 기념 촬영하느라 소동이다. 배 안의 승객들도 이에 질세라 셔터를 눌러대기 시작했다. 두번째 갑문에 들어섰다. 뱃머리 갑판에서 마주한 갑문은 더욱 육중한 느낌으로 다가왔다. 후미 갑판에서는 물이 반나마 들어 찬 모습이어서 갑문의 반 밖에 보지 못한 것이다. 예의 ‘전화벨 경고음’과 함께 다시 물이 차오르면서 배가 떠오르기 시작한다. 역시 9분여 만에 세번째 갑문과 수위가 같아지자 갑문이 다시 열리기 시작한다. 갑문 상단의 통로용 난간이 접히더니, 육중한 철문이 열리면서 새로운 물길을 내준다. 양쪽에서 앞 뒤로 각 2대씩 4대의 기관차가 방향을 잡고 비좁은 운하를 따라 토파즈호를 이끌고 들어간다.
|
51회 피스보트 월드크루즈가 들어선 파나마 운하 뒤로 한 화물선이 궤도차에 줄을 이은 채 서서히 운하로 들어오고 있다. 이정용 기자 lee312@hani.co.k
|
황열병, 말라리아 창궐해 건설 중단되기도 파나마 운하의 역사는 16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페루와 에콰도르 등지에서 수탈한 황금을 운반하기 위한 항로를 개척하기 위해 고심하던 스페인 국왕 샤를 5세가 1524년 처음으로 파나마를 가로지르는 방안을 제안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의 명령으로 1529년 운하 건설계획까지 마련됐지만, 지중해 통제권을 둘러싼 유럽 열강의 각축전이 치열해진 데다 기술적 한계도 명확해 이 계획은 실행에 옮겨지지 못했다. 그 뒤에도 대륙을 가로질러 대서양과 태평양을 연결시키기 위한 노력은 이어졌다. 니카라과를 관통하는 방안도 여러 차례 논의되다 폐기되기를 반복하기도 했다. 파나마 운하 건설 시도는 수에즈 운하 건설 성공으로 자신감에 들뜬 프랑스 기술진에 의해 1880년 1월1일 처음으로 감행됐다. 하지만 대륙을 가로질러 대양의 수위에 맞춘 운하를 건설하기란 그리 쉽지 않았다. 기술적 어려움에다 운하 건설지역에서 황열병과 말라리아가 창궐하면서 결국 건설을 시작한 지 3년 여 만에 포기하기에 이른다. 지금의 갑문식 파나마 운하 건설공사는 콜롬비아 지배 아래 있던 파나마의 독립을 지원하는 조건으로 운하 지역 통제권을 거머쥔 미국에 의해 1904년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운하 건설의 책임은 미 육군 공병대가 맡았다. 그리고 착공 10년 만인 1914년 8월15일 완공을 기념해 화물선 앵콘호가 처음으로 대륙을 관통하면서 파나마 운하의 개통을 알렸다. 이후 85년 동안 미국은 운하 운영권을 틀어쥔 채 파나마 내정에 깊숙이 개입해왔다. 미국은 지난 1999년 12월31일에야 파나마 운하에 대한 운영권을 파나마운하관리청(ACP)에 넘기고, 운하 주변에 주둔하고 있는 자국군을 철수시켰다. 대서양 따라 대륙을 가로질러 10시간 만에 태평양을 만나다
|
51회 피스보트 월드크루즈가 파나마 운하의 아메리카 다리를 마지막으로 대서양에서 태평양으로 향하고 있다. 이정용 기자 lee312@hani.co.kr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