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신저자는 모든 것 파악, 책임 의무'
황우석 교수팀의 논문 공동저자인 제럴드 섀튼 미국 피츠버그대 의대 교수가 사이언스지에 자신의 이름을 빼달라고 요청한 것에 대해 미국 과학계는 관례와 상식을 벗어난 일이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황교수팀 논문의 맨 마지막에 이름을 올려 `교신저자'임을 자임한 섀튼 교수가 이제와서 논문 내용에 잘못이 있다며 이름을 빼달라거나, 다른 저자들에게 논문을 철회하라고 요구하는 것은 과학계 관례상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것. 해당 논문을 게재한 사이언스측은 13일 성명을 통해 `섀튼 교수의 이름 철회 요청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힌데 이어 섀튼 교수에게도 똑같은 내용을 강조하는 e메일 답신을 보냈다. 사이언스는 이 e메일에서 "우리가 알기에 처음 주장을 입증할 수 없다고 해서 저자임을 철회하는 메커니즘은 없다"고 강조했다. 오히려 교신저자로까지 이름을 올린 섀튼 교수는 논문에 문제가 있다고 시인할 경우 이름을 뺄 수 있는 게 아니라 `비행에 대한 조사(misconduct investigation)'를 받아 마땅한 위치에 있다고 사이언스는 지적했다. 섀튼 교수의 처신에 대한 비판적 입장은 사이언스에만 국한된게 아니다. 존스 홉킨스 의대 존 기어하트 교수는 14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논문의 교신저자라면 출판에 동의한다는 서명을 하기 전에 스스로 연구의 모든 면에 대해서 파악해야 한다"며 "이름을 빼거나 자기가 연구를 하지 않았다고 거리를 둔다고 해서 책임이 면해지는게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안 윌머트 교수와 함께 황교수팀에게 논란에 대한 공동조사를 제의한 줄기세포 전문가 8명 중 하나인 기어하트 교수는 "섀튼 교수는 정말로 모든걸 알았어야 한다"며 "즉, 난자가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얻어졌고, 누가 그걸 제공했으며, 핵작업은 어떻게 이뤄졌는지를 알았어야 마땅하다"고 지적했다.기어하트 교수는 이것은 섀튼 교수 뿐 아니라 논문에 이름을 올리는 사람에겐 누구에게나 통용되는 `단순한 룰'이라고 설명했다. 생명윤리학 권위자인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대학의 현인수 교수도 "논문에서 이름을 빼느냐 여부는 사이언스의 정책에 달린 것이겠지만 논문에 문제가 있다고 해서 철회를 요청하는건 관례에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미국 언론들은 섀튼 교수의 처신에 대한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지적하지 않은 채 그가 사이언스에 공저자 지위 철회를 요청한 사실을 중점 보도했으나 그같은 요청이 이례적임은 인정하고 있다. AP통신은 사이언스 논문에서 자신의 이름을 빼달라는 섀튼 교수의 요구는 "대단히 이례적"이라고 표현했다. 이기창 특파원 lkc@yna.co.kr (워싱턴=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