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12.20 06:36 수정 : 2005.12.20 06:46

섀튼 사이언스 논문 공동저자 철회 요청 미국 과학전문지 사이언스는 서울대 황우석교수팀의 2005년 논문 공동 저자였던 미국 피츠버그대 제럴드 섀튼 교수가 공동 저자를 취소해달라고 요청했으나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13일(현지시간) 밝혔다. 사진은 지난 8월 3일 황 박사와 새튼교수가 개 복제연구결과를 발표한 뒤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서울=연합뉴스)

전자우편 등 조사 마무리…중징계 방침
“논문작성 담당했다” 진술

미국 피츠버그대는 황우석 서울대 석좌교수와 2005년 <사이언스> 게재 논문을 공동으로 쓴 제럴드 섀튼 교수에게 중징계를 내릴 방침인 것으로 확인됐다.

피츠버그대의 한 관계자는 19일 “섀튼 교수가 황 교수와 주고받은 모든 전자우편을 확보해 검토하는 등 그에 대한 대학 연구윤리국 조사가 거의 마무리됐다”며 “학교 당국은 이미 섀튼의 잘못이 충분히 드러났다고 판단하고 곧 징계위원회를 열어 중징계를 내릴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징계 수위는 교수직 박탈일 가능성이 크다”며 “막판에 큰 변수가 없으면 그렇게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대학에서 섀튼 교수의 비중이 크긴 하지만, 학교 쪽은 잘못이 명백한 상태에서 섀튼 교수를 파면하지 않으면 학교 전체의 명성에 흠집이 갈 것을 우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피츠버그대의 섀튼 교수 중징계 방침은 현재 진행 중인 서울대 조사위원회의 황 교수 논문 조작 사건에 대한 처리 방침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섀튼 교수는 조사에서 “모든 논문 작성 및 편집(페이퍼워크)은 내가 담당하고, 황 교수팀은 일부 내용과 표·사진 등 연구 결과를 조각조각 전자우편으로 전송해 왔다”고 말했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다.

피츠버그대는 20일(현지시각) 한국에서 박사후 과정으로 온 박종혁 박사와 김선종 박사를 불러 진술을 들을 예정이다.

한 한국인 과학자는 “섀튼 교수가 최근 획기적 연구업적을 냈음에도 중징계를 하는 것이 미국 사회”라며 “섀튼 교수가 황 교수한테서 받은 메일 등 증거자료가 있는데도 서울대가 황 교수 등 특정인을 감싸는 조사를 하면 한국 과학계의 신뢰 추락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피츠버그/함석진, 이근영 기자 sjham@hani.co.kr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