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T의 수석과학자 웨스트도 새로운 "기회"라는 데는 동의했다. "우리(미국)가 세계에서 이 분야 선두에 나설 수 역사적으로 값진" 기회라는 것이다. 그는 "그렇게 하는 게 우리의 도덕적 의무"라며 "우리가 보유한 기술과 심사숙고한 도덕적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도덕적 용기를 갖고 이 기회를 잡아 달려 나가야 한다"고 헐버트 교수와 다른 시각에서 '기회'를 강조했다. 헐버트 교수는 '황 박사의 줄기세포가 처녀생식을 통해 만들어진 것이라면, 이 방법은 도덕문제를 피할 수 있게 해주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도 "각종 방식의 줄기세포 연구를 통해 만들어진 세포들이 안전한 것인지를 확신할 수 없다"며 "줄기세포 연구 분야 전체는 잠재적 함정으로 가득 차 있다"고 주장했다. 이날 2시간 가까운 토론회는 미국내 줄기세포 연구 찬반 논란이 주류를 이뤘으나 말미에 헐버트 교수가 환하게 웃는 모습의 황 박사 표제 사진을 슬라이드로 보여주며 "우리는 이런 것은 필요없다"고 말하거나, 복제개 스너피 사진에 황 박사 얼굴을 올린 신문 만평을 보여줄 때 청중석에선 가벼운 웃음이 터지기도 했다. 윤동영 특파원 ydy@yna.co.kr (워싱턴=연합뉴스)
|
미 학계, 황우석 파장 “미미-충격”으로로 엇갈려 |
<<사진있음>>
1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우드로윌슨센터에서 열린 `줄기세포 논란' 토론회에서 황우석 박사의 연구 조작 사건이 줄기세포 연구에 미칠 영향에 대해 "미미하다(negligible)"와 "큰 충격(impact)을 미칠 것"이라는 주장이 엇갈렸다.
미국 유수의 줄기세포 연구소인 ACT(Advanced Cell Technology)의 마이클 웨스트 수석 과학자는 '한국의 재난'이 줄기세포 연구에 미칠 충격에 대한 청중의 질문에 "과학계에서 과거에도 있었던 일처럼 불행하고 슬픈 일"이긴 하지만, "그 사건을 다른 데 활용하려는 목적이 아니라면, 영향이 미미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황 박사 사건의 충격 정도는 "각자 원하는 만큼"이 될 것이라며, "줄기세포 연구 반대자들은 반대여론 확산에 이 사건을 이용하기 위해 신문광고를 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줄기세포 연구의 윤리문제를 들어 "도덕적으로 문제없는 다른 대안"을 찾아봐야 한다고 주장하는 윌리엄 헐버트 스탠퍼드대 메디컬센터 신경과학 교수는 "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사회의 수용도에 큰 충격을 미칠 것"이라며 줄기세포 연구 분야는 "이미 논란이 심했던 영역으로, 황 박사 사건은 줄기세포 연구에 역풍을 일으킬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입장에서 헐버트 교수는 "이번 사건을, 이 분야 연구를 올바르게 할 수 있는 집단 지혜와 연구 잠재력을 발휘할 기회로 삼아야 한다"며 "이번 사건으로 우리는 이 연구의 역사를 새로 쓸 기회, 다른 방법을 통해 새로 쓸 기회가 생긴 것"이라고 말했다.
생명윤리 논란을 피할 수 있는 줄기세포 연구 방법을 찾아봐야 한다는 것이다.
ACT의 수석과학자 웨스트도 새로운 "기회"라는 데는 동의했다. "우리(미국)가 세계에서 이 분야 선두에 나설 수 역사적으로 값진" 기회라는 것이다. 그는 "그렇게 하는 게 우리의 도덕적 의무"라며 "우리가 보유한 기술과 심사숙고한 도덕적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도덕적 용기를 갖고 이 기회를 잡아 달려 나가야 한다"고 헐버트 교수와 다른 시각에서 '기회'를 강조했다. 헐버트 교수는 '황 박사의 줄기세포가 처녀생식을 통해 만들어진 것이라면, 이 방법은 도덕문제를 피할 수 있게 해주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도 "각종 방식의 줄기세포 연구를 통해 만들어진 세포들이 안전한 것인지를 확신할 수 없다"며 "줄기세포 연구 분야 전체는 잠재적 함정으로 가득 차 있다"고 주장했다. 이날 2시간 가까운 토론회는 미국내 줄기세포 연구 찬반 논란이 주류를 이뤘으나 말미에 헐버트 교수가 환하게 웃는 모습의 황 박사 표제 사진을 슬라이드로 보여주며 "우리는 이런 것은 필요없다"고 말하거나, 복제개 스너피 사진에 황 박사 얼굴을 올린 신문 만평을 보여줄 때 청중석에선 가벼운 웃음이 터지기도 했다. 윤동영 특파원 ydy@yna.co.kr (워싱턴=연합뉴스)
ACT의 수석과학자 웨스트도 새로운 "기회"라는 데는 동의했다. "우리(미국)가 세계에서 이 분야 선두에 나설 수 역사적으로 값진" 기회라는 것이다. 그는 "그렇게 하는 게 우리의 도덕적 의무"라며 "우리가 보유한 기술과 심사숙고한 도덕적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도덕적 용기를 갖고 이 기회를 잡아 달려 나가야 한다"고 헐버트 교수와 다른 시각에서 '기회'를 강조했다. 헐버트 교수는 '황 박사의 줄기세포가 처녀생식을 통해 만들어진 것이라면, 이 방법은 도덕문제를 피할 수 있게 해주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도 "각종 방식의 줄기세포 연구를 통해 만들어진 세포들이 안전한 것인지를 확신할 수 없다"며 "줄기세포 연구 분야 전체는 잠재적 함정으로 가득 차 있다"고 주장했다. 이날 2시간 가까운 토론회는 미국내 줄기세포 연구 찬반 논란이 주류를 이뤘으나 말미에 헐버트 교수가 환하게 웃는 모습의 황 박사 표제 사진을 슬라이드로 보여주며 "우리는 이런 것은 필요없다"고 말하거나, 복제개 스너피 사진에 황 박사 얼굴을 올린 신문 만평을 보여줄 때 청중석에선 가벼운 웃음이 터지기도 했다. 윤동영 특파원 ydy@yna.co.kr (워싱턴=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