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2.02 19:38 수정 : 2006.02.02 22:33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

미 경제 풀어야할 숙제는

유가·인플레 감안한 금리 조정 첫 과제
부동산 거품·가계빚·양극화 문제도 시험대

벤 버냉키(52) 새 미국 연방준비이사회(FRB) 의장이 1일 취임선서를 하고 14대 연준 의장으로서 공식 업무를 시작했다. 연준은 미국 경제만이 아니라 세계 경제 흐름에 엄청난 영향을 주는 미국의 중앙은행이다. 그의 일거수일투족에 미국 안팎의 눈길이 쏠릴 수밖에 없고 그만큼 그의 어깨도 무겁다. 물러난 앨런 그린스펀 의장의 화려한 자취를 생각하면 더 그렇다.

버냉키가 연준 의장으로 자리잡는 데는 일단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가 연준 이사를 지내 이 조직을 비교적 잘 파악하고 있고 대공황 연구 등을 통해 쌓은 통화금융정책 식견도 남다르기 때문이다. 금융시장 등의 기대치도 상당히 높다.

그가 연준을 어떻게 이끌어갈지는 이달 15~16일 의회 증언에서 대체적인 윤곽을 드러낼 것으로 보인다. 당장은 전임 그린스펀의 정책기조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그는 이미 “그런스펀 시대에 확립된 (통화)정책과 정책전략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데 우선순위를 둘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실제로 큰 정책변화를 꾀하다가는 위험을 부를 수 있다. 불균형 요소가 많아 버냉키로서는 취임 첫해인 올해가 힘든 시간이 될 것이라는 지적도 없지 않다. 그린스펀은 취임 두달 만에 주식값이 대폭락한 ‘블랙먼데이’를 맞았다.

버냉키가 처리해야 할 첫번째 과제는 역시 금리 조정 여부다. 그가 처음 주재할 3월28일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는 기준금리인 연방기금금리를 4.5%에서 4.75%로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문제는 그 이후다. 금융시장에서는 대개 3월을 끝으로 인상 행진이 중단될 것으로 내다보지만 유가 강세 등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강해지면 상황은 간단치 않다. 이때 금리를 동결할 경우 인플레 억제 의지가 없는 것으로 받아들여지면서 미국 국채에 투자하고 있는 외국 중앙은행 등 투자자들의 불신을 살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는 달러화 가치를 뒤흔드는 등 파장이 만만치 않을 것이다. 반대로 금리를 올리면 미국 경제의 성장세를 이끄는 소비를 위축시킬 수 있다. 버냉키로서는 맞닥뜨리고 싶지 않은 시나리오다. 성장세가 견조하고 실업률도 낮아 미국 경제가 번영을 누리고 있지만 불투명한 요소도 적지 않은 것이다.

주택시장 거품과 경상·재정적자 확대, 가계부채 증대, 중산층 이하의 상대적 소득 악화 문제 등도 그를 기다리고 있다. 그린스펀 시대 유산인 이들 사안은 미국 및 세계 경제의 선순환을 위협할 수 있는 것들이다. 미국 경제가 역사상 가장 심각한 불균형 요소를 안고 있다는 진단이 나오는 것은 이 때문이다. 미 재무부 등과 함께 버냉키의 연준이 답을 내놓아야 할 숙제들이다.

버냉키만의 색깔은 좀더 시간이 지나야 제 모습을 드러낼 것 같다. 평소 그가 강조해온 연준의 투명성을 높이는 것과 인플레이션 목표제를 도입하는 것 등이 그것이다. 금융시장의 신뢰를 더 얻을 수 있는 조처로 평가받는 것들이다. 하지만 연준이 물가상승률의 상하 억제선을 제시하고 이에 맞춰 통화정책을 수행한다는 인플레이션 목표제를 시행할 경우, 고용문제에 소홀해질 수도 있어 현실화하기까지는 적잖은 논란이 예상된다.

이경 선임기자 kle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