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5.31 23:09 수정 : 2006.05.31 23:09

누리 알-말리키 이라크 총리가 31일 폭력사태가 심화되고 있는 남부 바스라 지역에 한 달 간의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군과 경찰 통수권을 쥔 말리키 총리가 비상사태를 선포한 것은 지난 20일 취임 이후 처음이다.

말리키 총리는 이날 바스라 방문 중 기자회견을 갖고 6월 한 달 동안 바스라의 치안을 안정시키기 위해 비상사태를 발령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바스라 지역에는 더 많은 이라크 보안군이 배치되고, 무장소요를 일으키는 세력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수도 바그다드에 이어 이라크에서 2번째로 큰 도시인 바스라는 이라크 재정수입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원유 생산지이면서 수출 통로이기도 하다.

영국군이 관할하는 바스라에서는 최근들어 이 지역을 장악한 시아파 간의 세력 다툼이 심화되면서 대낮 교전이 벌어지고 영국군이 공격당하는 상황이 이어졌다.


이런 가운데 시아파 최대 정당인 이라크이슬람혁명최고위원회(SCIRI)와 지방 정부 운영권 등을 놓고 세력다툼을 벌이고 있는 시아파 조직인 파딜라당은 최근 바스라를 통한 원유수출을 봉쇄할 수도 있다고 위협했다.

이에 대해 말리키 총리는 30일 로이터통신 회견에서 원유 수출 통로인 바스라 가 "범죄자들"의 수중에 넘어가도록 놔두지 않을 것이라며 국가기간 시설을 볼모로 잡으려는 특정세력의 기도에는 단호히 대처하겠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말리키 총리가 바스라 지역에 비상사태를 선포한 것은 이 지역을 치안 안정의 모델 케이스로 삼으려하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말리키 총리는 이라크 전역의 치안을 조속히 안정시켜 내년 말까지 미군 주도의 동맹군으로부터 치안통제권을 넘겨받겠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각 종파 산하의 민병조직 해체가 급선무인 데, 말리키 총리는 비상사태가 선포된 바스라에서 이를 시도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말리키 총리는 바스라 방문을 하루 앞둔 30일 파벌 간 갈등을 무력충돌로 키우는 요인이 되고 있는 민병조직의 완전 해체 방침을 천명해 주목받았다.

그는 "군과 경찰 외에 무장한 모든 사람은 민병대원에 해당된다"며 특정 정파에 소속돼 활동하는 민병조직을 예외없이 해체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말리키 총리의 구상은 종교시설 보호 등을 위해 민병조직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각 파벌의 반대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박세진 특파원 parksj@yna.co.kr (카이로=연합뉴스)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기사

전체

정치

사회

경제

지난주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