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채탕감 제외·IMF진잔 반발”분석도 아프리카 최대 산유국인 나이지리아가 아르헨티나처럼 대규모 국가채무 상환불능(디폴트) 상태에 놓일 수 있다고 <가디언>이 26일 보도했다. 신문은 영국을 방문 중인 나이지리아 경제 대표단이 330억달러(약 33조원)에 이르는 부채를 더는 감당할 수 없어 상환을 거부할 수 있다며 채권국들의 조속한 해결을 촉구했다고 전했다. 대표단을 이끈 파루크 라완 나이지리아 하원 재정위원장은 “지난 2년 동안 부채 35억파운드(약 1900억원)를 갚고 신규 부채가 발생하지 않았는데도 부채가 39억파운드 늘어난 것은 부당하다”며 “우리는 부채를 갚지 않겠다고 말해야 할 때가 다가왔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달 올루세군 오바산조 나이지리아 대통령은 의회가 동의하면 외채 상환을 중단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어, 재정위원장의 이런 발언은 의회가 곧 상환 중단을 결정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나이지리아의 국민총소득 중 총외채 비중은 2002년 기준으로 76.7%에 이른다. 또다른 대표단의 일원인 유도 유도마 상원의원은 부채 경감이 영국 등 채권국에 장기적으로 유리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는 교육비의 3∼4배, 보건비의 15배를 빚을 갚는 데 쓰고 있다”며 “우리가 빨리 성장해야 서구 상품 및 기술 수입이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나이지리아가 아르헨티나보다 더 심각한 상태라고 전했다. 과거 한차례 채무 불이행을 선언했던 아르헨티나는 올해 초 다시 채권국들에 외채 1달러당 30센트만 갚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나이지리아의 ‘디폴트 위기’ 발언은, 아프리카 최빈국 부채 탕감 대상에서 빠진 데 이어 최근 국제통화기금(IMF)이 경제 상황을 점검한 뒤 고유가 덕분에 상환 능력이 있다는 진단을 내린 데 대한 ‘엄포성’ 반발이라는 분석도 있다. 국제통화기금의 진단이 나온 뒤 채무조정국은 성명을 내어 고유가만으로 가난에 허덕이는 1억3000만 인구를 먹여 살리는 데는 턱없이 부족하다며 신속한 부채 경감을 주장했다. 석유로 벌어들이는 순소득은 1인당 연간 100달러, 하루 27센트에 불과하며 지난해 고유가로 1인당 하루 소득이 53센트로 오르긴 했으나 여전히 미미하다는 것이다. 지난 2월 초 미국, 영국 등 주요7개국(G7) 재무장관들은 사하라 사막 이남 최빈국을 비롯한 전세계 최빈국의 부채를 100% 탕감해주기로 합의했으나 나이지리아는 대상에서 제외됐다. 서구에선 나이지리아의 석유 소득이 정부의 부정·부패로 새나간다고 보고 있다. 이에 대해 워싱턴에 있는 세계개발센터의 토드 모스는 “나이지리아 부채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채권국들이 아예 돈을 못 받을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중추 국가의 경제 개혁도 위협할 수 있다”며 나이지리아의 요청을 받아들일 것을 주문했다. 강김아리 기자 ari@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