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의학연구소장인 파이크 아민 베이커는 "전쟁 전에는 월평균 250구의 시신을 받았지만 지금은 바그다드에서만 800∼900구가 들어온다"며 "의문사로 분류되는 이들 대부분의 시신에는 총상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라크 헌법초안위원회의 후맘 하무디 위원장은 이날 헌법초안위에 다음달 15일까지인 헌법초안 마련 시한을 최대 30일 연장하는 안을 제헌의회 전체회의에 요청하도록 권고하겠다고 말했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하무디 위원장은 이날 헌법초안위 비공개 회의에 참석하면서 "헌법초안위에 최장 30일까지 헌법초안 마련기간을 연장하도록 제안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AFP통신은 다른 초안위 위원을 인용해 예정대로 8월 중순까지 헌법 초안을 제헌의회에 제출할 것이라고 다소 상반된 내용을 전했다. 헌법 초안위는 원래 8월15일까지 제헌의회에 헌법 초안을 제출해야 하며, 이 시한을 맞추기가 어렵다고 판단하면 제헌의회가 8월1일까지 대통령과 부통령 2인으로 구성된 대통령위원회에 시한연장을 요청해야 한다. 시한연장은 최장 6개월까지 가능하며, 만일 의회가 연장신청을 하지 않은 채 8월15일까지 헌법초안을 마련하지 못하면 제헌의회는 해산하게 된다. 수니파 17명을 포함한 71명의 초안위원들은 그동안 조문 작업을 상당히 진척시켰으나 이슬람의 역할, 연방제 도입 및 자원배분 문제 등과 관련해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카이로=연합뉴스)
|
올들어 저항공격 등으로 이라크인 4천명 사망 |
이라크 헌법초안 마련 시한의 연장 여부를 놓고 엇갈린 관측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올들어 저항세력 공격 등 정치적 성격을 띠는 폭력으로 숨진 이라크인이 4천명선에 달한다는 충격적인 통계가 발표됐다.
이라크 국방, 내무, 보건부가 31일 내놓은 통계자료에 따르면 지난 1월 이후 지금까지 정치적 성격의 폭력사건으로 민간인 2천72명, 군인 308명, 경찰관 765명이 각각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 기간에 저항세력으로 분류되는 사망자는 855명으로 집계됐다.
저항세력을 제외한 나머지 사망자 통계를 월별로 보면 과도정부 구성 직후인 5월(672명)과 헌법초안 마련을 위한 논의가 진행된 7월(591명)이 가장 많았다.
이는 정치적으로 중요한 시기에 저항세력 공격이 활발해지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어서 헌법초안 마련 작업이 지연될 경우 저항공격의 격화가 우려되고 있다.
앞서 이라크전쟁 이후의 민간인 희생자 수를 추적해 온 `이라크 보디 카운트'와 `옥스퍼드 리서치 그룹'은 이달 초 2003년 3월 미국의 침공 이후 사망한 이라크 민간인이 최소 2만4천865명이라고 발표했고, 영국 의학저널인 랜싯은 지난해 10월 이라크전 이후의 민간인 사망자 수를 9만8천명선으로 추산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토요판 신문인 이집션 메일은 30일자 기사를 통해 저항세력의 테러공격 등으로 바그다드의 시체공시장이 시신들로 넘쳐나고 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상황이 계속 악화돼 수주 동안 연고자가 나타나지 않는 시신들은 새로 들어오는 시신을 받기 위해 임시 묘에 매장하고 있다"며 "올들어 400구 이상의 시신이 그런 식으로 처리됐다"고 전했다.
법의학연구소장인 파이크 아민 베이커는 "전쟁 전에는 월평균 250구의 시신을 받았지만 지금은 바그다드에서만 800∼900구가 들어온다"며 "의문사로 분류되는 이들 대부분의 시신에는 총상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라크 헌법초안위원회의 후맘 하무디 위원장은 이날 헌법초안위에 다음달 15일까지인 헌법초안 마련 시한을 최대 30일 연장하는 안을 제헌의회 전체회의에 요청하도록 권고하겠다고 말했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하무디 위원장은 이날 헌법초안위 비공개 회의에 참석하면서 "헌법초안위에 최장 30일까지 헌법초안 마련기간을 연장하도록 제안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AFP통신은 다른 초안위 위원을 인용해 예정대로 8월 중순까지 헌법 초안을 제헌의회에 제출할 것이라고 다소 상반된 내용을 전했다. 헌법 초안위는 원래 8월15일까지 제헌의회에 헌법 초안을 제출해야 하며, 이 시한을 맞추기가 어렵다고 판단하면 제헌의회가 8월1일까지 대통령과 부통령 2인으로 구성된 대통령위원회에 시한연장을 요청해야 한다. 시한연장은 최장 6개월까지 가능하며, 만일 의회가 연장신청을 하지 않은 채 8월15일까지 헌법초안을 마련하지 못하면 제헌의회는 해산하게 된다. 수니파 17명을 포함한 71명의 초안위원들은 그동안 조문 작업을 상당히 진척시켰으나 이슬람의 역할, 연방제 도입 및 자원배분 문제 등과 관련해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카이로=연합뉴스)
법의학연구소장인 파이크 아민 베이커는 "전쟁 전에는 월평균 250구의 시신을 받았지만 지금은 바그다드에서만 800∼900구가 들어온다"며 "의문사로 분류되는 이들 대부분의 시신에는 총상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라크 헌법초안위원회의 후맘 하무디 위원장은 이날 헌법초안위에 다음달 15일까지인 헌법초안 마련 시한을 최대 30일 연장하는 안을 제헌의회 전체회의에 요청하도록 권고하겠다고 말했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하무디 위원장은 이날 헌법초안위 비공개 회의에 참석하면서 "헌법초안위에 최장 30일까지 헌법초안 마련기간을 연장하도록 제안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AFP통신은 다른 초안위 위원을 인용해 예정대로 8월 중순까지 헌법 초안을 제헌의회에 제출할 것이라고 다소 상반된 내용을 전했다. 헌법 초안위는 원래 8월15일까지 제헌의회에 헌법 초안을 제출해야 하며, 이 시한을 맞추기가 어렵다고 판단하면 제헌의회가 8월1일까지 대통령과 부통령 2인으로 구성된 대통령위원회에 시한연장을 요청해야 한다. 시한연장은 최장 6개월까지 가능하며, 만일 의회가 연장신청을 하지 않은 채 8월15일까지 헌법초안을 마련하지 못하면 제헌의회는 해산하게 된다. 수니파 17명을 포함한 71명의 초안위원들은 그동안 조문 작업을 상당히 진척시켰으나 이슬람의 역할, 연방제 도입 및 자원배분 문제 등과 관련해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카이로=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