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카에다에서 분화된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라크·레반트 이슬람국가’ 반군이 11일 이라크 수도 바그다드에서 북쪽으로 130쯤 떨어진 티크리트를 장악했다. 티크리트는 미국의 이라크 침공 뒤 붙잡혀 처형된 사담 후세인 전 이라크 대통령의 고향이다. 티크리트/AP 연합뉴스
|
수니파 반군, 파죽지세 진격
모술이어 바이지·티크리트 장악
유전·수니파 심장부 줄줄이 타격
정부군 수적 우세에도 손놓고 당해
미국 재개입 불가피론속 대책 고심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단체가 이라크 서부와 북부의 주요 거점을 장악한 데 이어 수도 바그다드를 향해 파죽지세로 진격하고 있다. 이라크에서 시리아와 비슷한 전면적 내전이 벌어질 수 있다는 위기감에 미국 등 서방은 물론 중동 국가들도 고민에 빠졌다. 미국에서는 ‘3차 이라크전쟁’ 상황이라며 군사 개입이 불가피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슬람 수니파인 ‘이라크·레반트 이슬람국가’(ISIL·이슬람국가) 반군은 이라크 북부의 모술을 장악한 다음날인 11일 중부의 바이지 일부와 티크리트를 장악했다고 <에이피>(AP) 통신이 전했다. 이어서 반군은 수도 바그다드에서 110㎞ 떨어진 사마라에서 격전을 벌인 뒤 티그리스강을 따라 신속하게 남진하며 12일 시아파 친미 정권을 목전에서 위협하고 있다. 반군은 이날 성명을 통해 바그다드는 물론 시아파 핵심 성지인 남부 카르발라까지 진격하겠다고 호언장담했다.
반군이 장악한 티크리트는 사담 후세인의 고향이며, 바이지는 최대 정유시설이 자리한 도시다. 반군은 주요 유전지대인 키르쿠크주의 일부로도 진격했다. 이로써 반군의 영향권은 서부 안바르주, 북부 니네베주와 키르쿠크주 일부, 중부 살라딘주까지 이라크 전체 18개 주 가운데 4개 주에 이른다. 미국이 축출한 후세인 정권을 지지한 수니파 세력이 강한 곳들이다. <에이피>는 “누리 말리키 총리가 이끄는 시아파 주도의 현 정부가 이들을 저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공포가 번지고 있다”고 전했다.
|
이라크·레반트 이슬람국가(ISIL) 진격 현황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