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샤라프 파키스탄 대통령
|
아부다비서 비밀회담…연정통한 지지기반 강화 노린 듯
권력기반에 심각한 위기를 맞이한 페르베즈 무샤라프 파키스탄 대통령이, ‘정적’인 베나지르 부토 전 총리를 만나 ‘권력 분점’의 개략적인 합의에 이르렀다고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가 29일 무샤라프 내각의 장관들의 말을 따 보도했다.두 사람은 27일 아랍에미리트연합 아부다비에서 두 차례 연 비밀 회담을 통해 △무샤라프의 군 총사령관 퇴임과 대통령직 유지 △부토 전 총리의 귀국과 세번째 총리 취임 허용 등에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부토 쪽이 공정한 선거를 위해 친무샤라프계인 샤우카트 아지즈 현 총리의 경질을 요구하면서, 무샤라프 쪽과 후임자에 대한 이견의 폭은 좁히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무샤라프 대통령은 부토와의 ‘연정’을 통해 국내 지지기반을 강화하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는 최근 △이프티카르 차우드리 대법원장 해임을 반대한 민주화 세력의 압박 △랄마스지드(붉은 사원) 유혈 강제진압에 대한 이슬람주의 세력의 보복 등으로 큰 타격을 입고 있다. 그동안 휴전상태를 유지했던 아프가니스탄 접경지역의 부족들은 랄마스지드 사건 이후 그에게 등을 돌렸다. 이 지역에서 알카에다·탈레반 등 이슬람주의 세력이 번창한 데 대해 쏟아진 미국의 비난도 그로선 무시할 수 없는 부담이다.
양쪽은 오는 9월 현재 의회 임기 안에 간접선거로 대통령 선거를 치르고, 11월 전에 총선을 통해 새 의회를 구성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의회는 지난 2002년 무샤라프를 대통령으로 선출한 바 있다. 그러나 최근 해임 무효화로 실권을 회복한 차우드리 대법원장이 그동안 줄곧 간접선거를 위헌이라 주장해 귀추가 주목된다. 한편 총선에서 인민당이 다수당으로 선출되면, 부토 전 총리는 1988년, 93년에 이어 세번째로 총리에 취임하게 된다.
|
베나지르 부토 전 총리
|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