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술국치 100년 새로운 100년
|
홋카이도 작은 절서 보관중
“한국인 유골 분명치 않으면
일본 정부 아무 조치도 안해”
일본 홋카이도는 일제 강점기 때 규슈 후쿠오카현과 함께 조선인 강제동원이 가장 많았던 지역이다. 약 15만명이 끌려가 공식기록만으로도 2300명이 현지에서 희생된 것으로 나온다. 한-일 강제병합 100년, 해방 65년을 맞았지만 우리는 희생자들의 유골이 어디에 어떤 상태로 있는지 온전히 파악을 못하고 있다.
홋카이도 중부에 있는 작은 절에서 한 조선인 희생자의 것으로 추정되는 무연고 유골함과 마주쳤다. 지난 6월29일 조선인 강제연행을 조사하는 활동가들과 함께 히가시카구라정의 몬묘(聞名)사란 사찰을 찾았다. 선대 주지의 부인 후지카미 기미코(88)가 보자기로 싼 목제 유골함 두개를 갖고 나와 보관하게 된 경위를 밝혔다. 그가 남편과 함께 이 절에 온 것은 태평양전쟁이 한창인 1943년이었다. 그 이듬해 한기가 느껴지던 무렵 10여명의 남자들이 주검 1구를 메고 절로 찾아왔다. 손발을 닦으라고 물을 데워 대야에 담아 주었는데 짚으로 만든 장갑을 벗은 그들의 손은 흙투성이였다. 그들이 어쩌다 하는 말은 알아들을 수 없었고, 감시원으로 보이는 일본인이 동행했다. 화장을 해서 유골은 절에 안치했다.
|
일본 몬묘사에서 보관해온 목제 유골함. 유골은 전쟁 기사로 빼곡히 채워진 신문에 싸여 있었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