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6.03.31 19:23
수정 : 2006.03.31 19:23
일본 우호방문단 만나
고이즈미 총리 퇴임 이후 대중국 관계를 복원하려는 일본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중국을 방문중 인 일본의 일·중 우호 7개 단체 연합 방문단은 31일 오후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과 만나 두 나라 민간 교류와 관계 개선 방안에 관해 논의했다고 중국 관영 <신화통신>이 이날 보도했다.
후 주석은 이날 연합방문단 대표들과 만난 자리에서 “중·일 두 나라의 민간 교류는 두 나라 관계 개선과 신뢰 강화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며 “민간 우호단체들이 앞으로도 두 나라 우호를 위해 더욱 큰 구실을 해달라”고 주문했다.
이번 방문단에는 단장인 하시모토 류타로 전 총리를 비롯해 노다 다케시 전 자치성 장관, 고무라 마사히코 전 외무성 장관 등 중국과 우호관계를 주장해온 일본 정치계의 주요 인사들이 대거 포함됐다. 이는 야스쿠니 신사참배로 대중관계를 악화시킨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의 퇴임 이후 양국 관계 개선의 포석을 놓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에 방중한 일본의 일·중 우호 단체는 일·중우호협회 등 일곱 단체로, 이들이 연합 방문단을 구성해 중국을 방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방중 대표단은 이날 오전 베이징 중국 쪽의 중·일우호협회 등 다섯 단체와 연석회의를 열어 두 나라 사이 정치적 긴장관계를 어떻게 풀 것인지에 대해 논의했다. 쑹젠 중·일우호협회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고이즈미 총리의 신사 참배로 중·일 정치관계가 악화됐음을 다시 한번 비판한 것으로 전해졌다. 펑자오쿠이 중국사회과학원 일본연구소 연구원은 “중·일관계는 최근 매우 어려운 처지에 놓여 있다”며 “민간 교류의 강화를 통해 정부간 관계 개선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의 한 일본쪽 관계자는 이날 “최악으로 악화된 두 나라의 관계를 풀기 위해 중국 주재 일본 외교관들도 본국에 적지 않은 의견을 제출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자민당 내부 등에서도 중국과 관계 악화를 더 이상 오래 끌어서는 안 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며 “이번 연합 방중은 올해 말 퇴임할 고이즈미 총리 이후를 대비하기 위한 움직임”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친강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30일 일본 문부성의 올해 검인정 교과서에서 댜오위다오(일본명 센카쿠 열도)가 일본 땅임을 명시하도록 한 조처에 대해 “댜오위다오는 명백한 중국 고유 영토”라며 “일본은 중국쪽 입장을 바로 보길 희망한다”고 일본을 비판했다. 이 문제로 일본 연합방중단의 이날 후 주석 면담이 한때 불투명해지기도 했다.
베이징/이상수 특파원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