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5.17 18:32 수정 : 2006.05.17 18:32

미·일 제치고…말레이시아와 해상협력 서명

중국이 오는 7월 말레이시아와 ‘해상 협력 양해 비망록’에 서명할 예정이라고 홍콩 <대공보>가 17일 보도했다. 이에 따라 중국이 미국·일본보다 한 발 앞서 해상수송로의 요충지인 말라카해협에 교두보를 확보할 전망이다.

중국과 말레이시아 당국은 최근 ‘비망록’과 관련해 좀 더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했으며, 오는 7월 중국 교통부장관이 말레이시아를 방문할 때 이 비망록에 공식 서명하기로 했다고 이 신문이 쥐청즈 중국 교통부 국제협력국 국장의 말을 따 전했다. 이번에 두 나라가 서명할 ‘비망록’에는 말라카해협에서 △해상 운송 △안전구조 △정보 공유 △요원 훈련 △관련시설 건설 등 분야에서 두 나라가 협력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말라카해협은 태평양과 인도양, 유럽·아프리카와 아시아를 잇는 해상수송의 요충지로, 말레이시아·싱가포르·인도네시아 등 주변 세 나라가 공동으로 관리해 왔으나 미국·일본 등이 끊임없이 군대 주둔 등으로 영향력 확대를 꾀해 왔다. 미국은 2004년 반테러와 해적 소탕을 명분으로 이 지역에 해군과 특수부대를 파견할 계획을 밝힌 데 이어 지난해 럼스펠드 국방장관의 싱가포르 방문 때 미군의 말라카해협 주둔을 희망한다는 뜻을 밝혔으나, 말레이시아 등 세 나라가 “이 지역은 세 나라 이외에 외국 군대의 존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반대해 왔다. 일본도 2005년 2월 말레이시아에 미국과 같은 명분을 내세워 함정 파견을 제안했으나 거절당했다.

수입 원유의 80%를 말라카해협을 통해 들여오는 중국은 이 지역에 대한 영향력 확보를 위해 오랫동안 공을 들여왔으며, 특히 중국·아세안 회담(10+1)을 통해 △해적 소탕 △해양환경 보호 △해상 구조 활동 △인도주의 지원 등을 꾸준히 논의해 왔다. 중국은 앞으로 해적과 해상범죄에 대한 공동 대응을 명분으로 내세워 이 지역 국가들과 연합 군사훈련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대공보>는 전했다.

베이징/이상수 특파원 leess@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