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반우파투쟁 피해자들 , 피해보상 요구 |
중국에서도 ‘과거 청산’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충칭시의 ‘반우파 투쟁’ 피해자 116명은 최근 중국공산당 중앙과 전국인민대표대회, 국무원 등에 연대서명한 공개서한을 보내, “국가가 반우파투쟁 피해자들에게 공식 사과하고 피해를 보상하라”고 주장했다고 <자유아시아방송> 인터넷판이 14일 보도했다. 지난해 9월에도 베이징 지역의 ‘반우파 투쟁’ 피해자 61명이 공개서한을 발표해 ‘반우파 투쟁’에 대한 재평가와 언론 탄압 중단, 피해 보상 등을 요구한 바 있다.
충칭시의 공개서한을 주도한 장원양(70)은 <자유아시아방송>과 인터뷰에서 “우리는 살인도 방화도 아무런 범죄도 저지르지 않았는데 왜 수십 년 동안 고통 속에 가둬두는가”라며 “반우파 투쟁 50돌을 맞아 국가가 최대한 빨리 이 문제의 해결 방안을 의사 일정에 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당시 당 조직 학습 때 <인민일보>에 실린 ‘우파분자’의 글을 낭독했다는 이유로 우파분자로 몰려 20년 동안 ‘노동 개조’형을 받았다. 또 당시 충칭시 공안국에 의해 우파분자로 몰려 22년 노동개조형을 받은 장보링은 자신이 있던 쓰촨성 어볜현 노동교화소에서 1960년 대기근이 닥쳐 수천명이 굶어죽었다고 증언했다.
1981년 개혁개방 이후 중국 정부는 1957년의 ‘반우파 투쟁’에 대해 “정확하고 필요한 것이었으나 너무 확대됐다”는 평가를 내렸다. 당국은 ‘반우파 투쟁’의 피해자가 55만명이라고 평가하고 있으나 민간에서는 수백만에 이른다고 맞서고 있다. 이상수 기자 leess@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