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산둥성 칭다오 청양구의 한 한국 장신구 제조업체에서 26일 오전 중국인 노동자들이 해외로 수출할 장신구를 만들고 있다. 이 업체에선 500여명의 중국인 노동자들이 일하고 있다.
|
중 산둥성 ‘기업환경 급변’ 한국기업 생사 갈림길
인건비 상승 토지세·보험비 부담…200곳 짐싸‘위기는 기회’ 고부가가치 업종 새 도전도 급증 25일 중국 산둥성 옌타이. 칭다오 주재 한국총영사관과 옌타이 시정부 간부들이 굳은 표정으로 마주앉았다. 지난 12일 한국인 회장을 비롯한 임직원들이 훌쩍 떠나버린 세강섬유 사태를 논의하기 위해서였다. 중국인 노동자 1200여명은 가동을 멈춘 공장에 출근을 계속하며 하루 아침에 생계를 잃은 울분을 토로하고 있다. 춘제(설)가 다가오는데도 고향으로 돌아갈 차비 한 푼 없다며 발을 구르는 이들도 적지 않다.
|
중국 정부의 기업정책 변화
|
그러나 승자들은 새로운 기회를 노린다. 중국의 정책이 저임금에 기반한 저부가가치 산업을 도태시키려는 구조조정을 목표로 하는 만큼, 이 시기를 견뎌내면 시장질서가 한층 정비될 것이라는 기대를 품고 있다. 성정한 칭다오한국상회 사무국장은 “한국에서 이미 경험한 도태의 과정이 지금 중국에서도 진행되고 있다”며 “중국의 정책변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적응력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산둥성은 한국 중소기업의 중국 진출을 상징하는 곳이다. 섬유·봉제·피혁·완구 등 한국에서 사양길에 접어든 노동집약형 중소기업들이 살길을 찾아 너도나도 이곳으로 건너왔다. 지난해 말 현재 칭다오의 외자기업은 모두 8059곳으로, 이 가운데 한국 기업이 4081곳에 이른다. 외자기업 두 곳 가운데 하나는 한국에서 왔다는 얘기다. 산둥성은 경제 개발을 위해 이들 한국 기업을 반갑게 맞아들였다. 그러나 지금은 상황이 바뀌었다. 세금 감면과 대출 편의 등 각종 ‘특혜’가 줄어들고, 부가가치세 환급 폐지와 토지사용세 부과 등 ‘박해’가 늘어났다. 올해부턴 노동자들의 종신고용을 유도하고, 사회보장 가입을 강제하는 각종 규제가 발효했다. 원자재값 상승과 인건비 증가로 허덕이는 한국 중소기업들 처지에선 한꺼번에 재앙이 닥친 셈이다. 한국대사관 관계자는 한국 기업 가운데 5% 정도는 결국 정리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글·사진 칭다오/유강문 특파원 moon@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