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최고 부자마을인 장쑤성 화시촌, 줄지어 늘어선 유럽식 저택들은 마을에서 주민들에게 무료로 분배해준 것이다. ‘사회주의 신농촌’의 성공 모델로 꼽히는 이곳은 이제 중국 전역에서 관광객이 찾아오는 명소가 됐다.
|
중국 장쑤성 화시촌을 가다
소유·복지는 사회주의, 돈벌이는 시장경제 활용
31년전 만든 공동소유 화시그룹서 73억달러 수익
중국 장쑤성 장인시 화시촌은 중국인들이 꿈꾸는 ‘무릉도원’이다.
마을에 들어서면 중심엔 15층짜리 진타(금탑)호텔이 우뚝 서 있고, 잘 정돈된 가로수 사이로 난 길마다 붉은 지붕을 인 서양식 2층 빌라들이 줄지어 있다. 저택들은 건평 400㎡~600㎡의 규모이고, 주차장엔 고급차들이 즐비하다. 주민들의 평균 연간소득은 20만위안(약 3430만원). 중국 평균의 10배다. 마을 한쪽에선 초대형백화점과 공연장, 고급 아파트 등으로 쓰일 72층짜리 초고층건물 ‘공중 신농촌’ 공사가 한창이다.
화시촌은 ‘사회주의 공동체’를 통해 중국 제일의 부자 마을이 됐다. 소유와 복지는 철저하게 사회주의 시스템이되, 돈은 시장경제를 능숙하게 활용해 벌어들였다.
1978년말 이 마을 주민 1000여명은 개인들의 자산을 ‘향진기업’에 투자해 이를 공동소유로 했다. 마을의 모든 자산과 ‘화시그룹’이라는 대기업을 공동 소유한 주주들이기도 한 마을 주민들은, 매년 말 지분과 노동 실적에 따라 배당금을 받는다. 지난해 500억위안(73억달러)의 수익을 올린 화시그룹 산하엔 철강, 알루미늄, 섬유, 건설 등 60여 기업이 있는데, 이중 일부는 선전증시에 상장돼 있다. 하지만 마을은 모든 가구에 집과 차, 무료 교육·의료·양로 혜택을 제공한다.
|
화시촌은 중국 농촌을 빈곤에서 끌어낼 발전모델이 될 수 있을까? 이에 대해 우런바오 전 서기는 “화시의 발전은 이 곳의 특색을 살린 결과다. 다른 지역들은 ‘실사구시’에 따라 자신들의 특성에 맞는 길을 찾아야 발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 화시촌(장쑤)/글·사진 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