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자바오 “출구전략 일러” 위안화 절상 요구는 거부 |
“한 나라의 환율은 그 나라의 경제에 따라 결정된다. 강제적 방법으로 다른 나라의 화폐를 절상하도록 비난하고 압력을 가하는 데 반대한다.”
원자바오 중국 총리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를 마무리하는 14일 기자회견에서 미국의 위안화 절상 압력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지난 11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중국은 시장 중심 환율정책을 채택하라”고 공개적으로 요구한 것을 맞받아친 것이다.
오는 4월15일 미국 재무부가 통화보고서를 발표하면서 중국을 ‘환율 조작국’으로 지정할지가 초점이 된 상황에서 미국과 중국의 신경전이 불꽃을 튀기고 있다. 원 총리는 우선 “시장의 수급에 기초한 관리형 변동환율 제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며 중국이 자체 필요에 따라 위안화를 절상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하지만 현재로선 “위안화의 가치는 평가절하돼 있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중국이 통계를 낸 37개국 중 16개국의 지난해 대중국 수출이 증가했고, 중국은 이미 한국과 일본, 유럽, 미국의 주요 수출시장이 됐다”는 게 근거다.
원 총리는 ‘더블딥’ 위기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으면서 아직은 출구전략을 쓸 때가 아님을 분명히 했다. 그러나 “올해 경제의 안정적이고 비교적 빠른 발전과 경제 구조조정, 인플레이션 가능성 관리 등 세 분야의 관계를 제대로 관리한다면 위기를 잘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말 코펜하겐 기후변화 회의에서 원 총리가 일부 회의 참석을 거부했다며, ‘중국 오만론’이 제기되는 데 대해 “덴마크 여왕과의 만찬에서 옆자리의 유럽 관리에게 그날 밤에 회의가 있다는 말을 비공식적으로 들었고 정식 통지를 받지 못했다”고 반박하기도 했다.
이날 전인대 폐막으로 막을 내린 올해 중국 최대 정치행사 양회(정협·전인대)를 압도한 것은 경제와 민생 문제였다. 14일 전인대는 도시와 농촌의 대표권을 동등하게 바꾸는 선거법 개정안과 경기 부양과 내수 확대를 위해 적자예산 규모를 지난해보다 10% 늘려 1조500억위안으로 편성한 예산안을 통과시키며 마무리됐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