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3.24 20:51 수정 : 2010.03.24 20:51

제휴사업 중단·검열 강화·접속 장애 등 이어져

구글이 중국 정부와 두달 넘게 씨름한 끝에 중국에서 검색 사이트를 철수한 뒤 후폭풍이 거세다. 구글은 중국 내에서 검색 외 사업들은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벌써부터 구글과 제휴관계를 끊는 기업들이 나타나고 있다.

구글의 검색 철수 발표 직후, 홍콩 재벌 리카싱 소유로 중국에서 온라인과 휴대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톰 온라인이 중국 법에 저촉되지 않기 위해 구글 검색 서비스와의 제휴를 중단했다고 23일 발표했다. 중국 최대 휴대전화 서비스업체인 중국이동(차이나모바일)도 자사의 휴대전화에 구글 검색 기능을 탑재하겠다는 계약을 취소할 예정이라고 업계 관계자들이 전했다. 업체들이 당국의 보복을 우려해 구글에 광고를 주는 것을 꺼리고 있어 구글 차이나의 인력 감축도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구글은 연구개발, 지도, 음악, 휴대전화 관련 사업 등은 중국 안에서 유지하길 희망하지만, 중국의 검열 정책을 정면으로 치받은 이번 도박 이후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검색 부분도 중국의 ‘보복’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구글은 23일부터 홍콩 사이트에서 검열 없는 중국어판 검색을 제공하고 있지만, 이는 중국의 ‘만리장성’ 검열 시스템에 막혀 실제로는 중국 내에서 아무런 효과도 내지 못하고 있다.

홍콩 사이트로 자동연결되는 23일부터 중국 본토 내에서 구글에 접속해 천안문· 민주화운동 등 정치적으로 민감한 검색어를 입력하면 ‘웹페이지를 표시할 수 없다’는 메시지와 함께 웹 브라우저가 수초간 접속이 끊기고, 이후에는 민감하지 않은 검색어를 넣어도 검색이 되지 않는다. 중국 당국이 구글 검색에 대한 검열 수위를 한층 높인 것으로 보인다. 24일에는 구글 사이트 자체에 접속하기 힘든 경우도 많았다고 중국 네티즌들은 말한다. 구글은 검열에 굴복하지 않는다는 명분을 챙겼지만, 일반 중국인들에게는 아무런 변화도 보여주지 못한 셈이다.

중국 정부는 이번 사태에 대해 구글을 맹비난하면서도 미국 정부에 비난의 화살을 돌리지 않도록 조심하는 모양새다. 친강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3일 “구글의 결정은 개별 기업의 행위”라면서 “이를 중-미 관계와 중국의 이미지 훼손 등과 결부시키는 것은 침소봉대이자 과민반응”이라며 미-중관계로 불똥이 튀는 것을 차단하려 했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