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8.19 19:27 수정 : 2010.08.19 19:58

중국 동북부 랴오닝성에 추락한 북한 전투기 처리 문제를 두고 북한과 중국이 대응책을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

사고 하루 만인 18일 중국이 이례적으로 신속하게 <신화통신>을 통해 “추락한 비행기는 북한 전투기이며, 중국이 북한과 이 문제를 협의하고 있다”고 보도한 데 이어, 중국 선양에 있는 북한 총영사관 차량이 18일 저녁 랴오닝성 푸순현 라구향 사고 현장에 도착했고 중국 외교부의 차관보급 간부도 선양으로 향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당국은 19일 오전 북한 전투기 잔해를 해체해 사고 현장에서 반출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조종사가 북한을 이탈해 중국 영공으로 들어온 이유와 사고 원인 등에 대해선 ‘영구미제’로 남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외교 소식통들은 전망한다. 중국과 북한에 모두 곤혹스러운, 민감한 사안이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 인민해방군은 이번 사건에서 북한 전투기의 영공 진입을 사전에 탐지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방공망이 뚫렸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한-미 양국이 서해에서 군사훈련을 준비중인 상황에서 스텔스 기능이 없는 북한의 전투기가 중국 영토 안으로 150㎞나 비행할 때까지 중국 공군이 출동하지 않은 것을 놓고 중국의 군사전문가들과 네티즌 사이에서는 ‘방공망이 뚫렸다’는 비판 여론이 나오고 있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