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들 ‘아직 지침 못받아’ 중국 당국이 17일 숨진 자오쯔양 전 총서기의 장례 절차를 두고 고민에 빠졌다. 당국은 또 그의 사망 여파를 최소화하기 위한 보도통제를 계속하고 있으며, 18일 베이징 거주 한국인에게 배달되는 한국 신문의 자오쯔양 사망 관련 기사까지 조직적으로 도려낸 것으로 밝혀졌다. 중국 최고 지도부는 자오 전 총서기의 죽음이 반정부 시위의 도화선으로 작용할 것을 우려해 그의 장례식을 ‘가족장’으로 하도록 할 방침이었으나, “예우가 너무 소홀하다”는 불만이 새로운 문제를 낳을 수 있어 묘안을 짜내는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베이징 외교소식통은 후진타오 국가주석과 원자바오 총리, 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등 중국 최고 지도부가 지난달 5일 자오의 병세가 악화돼 베이징의원에 입원한 이래 매일 그의 병세에 관한 보고를 들었으며, 사후 처리에 관해서도 토론했다고 전했다. 홍콩 <동방일보>는 18일 후 주석이 장쩌민 전 주석과도 이 문제를 논의했으며, 두 사람은 자오에 대한 장례식과 발인, 추도식 등을 모두 ‘가족장’으로 처리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장례를 너무 소홀하게 치를 경우 “당 내부와 민간에서 불만이 터져나와 더 나쁜 결과를 낳을 것을 우려”해 “조용한 가운데 최선의 예우를 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쿵취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8일 정례 브리핑 때 “자오의 장례식이 어떻게 치러지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얘기해줄 수 있는 정보가 없다”고 얼버무렸다. 그러나 허중산 공산당중앙당교 교수 겸 중국근현대사 사료학회 부회장은 이날 “자오 전 총서기는 1989년 당·정의 모든 직무를 면직당했지만 당원 신분은 유지됐으며 ‘퇴직·휴직한 당·국가 지도자’에 해당하는 예우를 받았다”고 지적했다. 또 홍콩 <태양보>는 18일 “자오 전 총서기가 중국 국무원 총리를 8년 동안 역임했기 때문에 ‘중화인민공화국 국기법’ 14조에 따라 ‘조기’를 게양해 애도를 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홍콩의 중국인권민주운동정보센터는 자오의 가족들이 이날 “아직 중앙에서 장례식을 어떻게 치를지 방침이 전달된 게 없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이 센터는 “자오가 임종하기 1시간 전인 17일 새벽 6시에 쩡칭훙 국가 부주석이 병원에 도착해 자오의 병세를 돌아봤다”고 전했다. 중국 관영 <인민일보> <광명일보> 등은 18일 <신화통신>에 실린 자오 사망 관련 발표문 56글자를 그대로 전재하는 데 그쳤고, 자오 사망을 보도한 외신의 인터넷 페이지와 베이징대학의 사설 토론방 ‘베이다웨이밍’에 오른 자오 전 총서기를 추도하는 글 등은 모두 차단당했다. 또 이날 베이징의 한국기업체들과 주재원에게 배달된 한국 신문에 실린 자오 사망 관련 기사도 상당수가 도려내어진 채 배달된 것으로 확인됐다. 베이징/이상수 특파원 leess@hani.co.kr
|
중 당국, 자오쯔양 장례절차 고민 |
‘조용한 가운데 최선 예우’ 방안 검토
가족들 ‘아직 지침 못받아’ 중국 당국이 17일 숨진 자오쯔양 전 총서기의 장례 절차를 두고 고민에 빠졌다. 당국은 또 그의 사망 여파를 최소화하기 위한 보도통제를 계속하고 있으며, 18일 베이징 거주 한국인에게 배달되는 한국 신문의 자오쯔양 사망 관련 기사까지 조직적으로 도려낸 것으로 밝혀졌다. 중국 최고 지도부는 자오 전 총서기의 죽음이 반정부 시위의 도화선으로 작용할 것을 우려해 그의 장례식을 ‘가족장’으로 하도록 할 방침이었으나, “예우가 너무 소홀하다”는 불만이 새로운 문제를 낳을 수 있어 묘안을 짜내는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베이징 외교소식통은 후진타오 국가주석과 원자바오 총리, 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등 중국 최고 지도부가 지난달 5일 자오의 병세가 악화돼 베이징의원에 입원한 이래 매일 그의 병세에 관한 보고를 들었으며, 사후 처리에 관해서도 토론했다고 전했다. 홍콩 <동방일보>는 18일 후 주석이 장쩌민 전 주석과도 이 문제를 논의했으며, 두 사람은 자오에 대한 장례식과 발인, 추도식 등을 모두 ‘가족장’으로 처리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장례를 너무 소홀하게 치를 경우 “당 내부와 민간에서 불만이 터져나와 더 나쁜 결과를 낳을 것을 우려”해 “조용한 가운데 최선의 예우를 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쿵취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8일 정례 브리핑 때 “자오의 장례식이 어떻게 치러지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얘기해줄 수 있는 정보가 없다”고 얼버무렸다. 그러나 허중산 공산당중앙당교 교수 겸 중국근현대사 사료학회 부회장은 이날 “자오 전 총서기는 1989년 당·정의 모든 직무를 면직당했지만 당원 신분은 유지됐으며 ‘퇴직·휴직한 당·국가 지도자’에 해당하는 예우를 받았다”고 지적했다. 또 홍콩 <태양보>는 18일 “자오 전 총서기가 중국 국무원 총리를 8년 동안 역임했기 때문에 ‘중화인민공화국 국기법’ 14조에 따라 ‘조기’를 게양해 애도를 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홍콩의 중국인권민주운동정보센터는 자오의 가족들이 이날 “아직 중앙에서 장례식을 어떻게 치를지 방침이 전달된 게 없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이 센터는 “자오가 임종하기 1시간 전인 17일 새벽 6시에 쩡칭훙 국가 부주석이 병원에 도착해 자오의 병세를 돌아봤다”고 전했다. 중국 관영 <인민일보> <광명일보> 등은 18일 <신화통신>에 실린 자오 사망 관련 발표문 56글자를 그대로 전재하는 데 그쳤고, 자오 사망을 보도한 외신의 인터넷 페이지와 베이징대학의 사설 토론방 ‘베이다웨이밍’에 오른 자오 전 총서기를 추도하는 글 등은 모두 차단당했다. 또 이날 베이징의 한국기업체들과 주재원에게 배달된 한국 신문에 실린 자오 사망 관련 기사도 상당수가 도려내어진 채 배달된 것으로 확인됐다. 베이징/이상수 특파원 leess@hani.co.kr
가족들 ‘아직 지침 못받아’ 중국 당국이 17일 숨진 자오쯔양 전 총서기의 장례 절차를 두고 고민에 빠졌다. 당국은 또 그의 사망 여파를 최소화하기 위한 보도통제를 계속하고 있으며, 18일 베이징 거주 한국인에게 배달되는 한국 신문의 자오쯔양 사망 관련 기사까지 조직적으로 도려낸 것으로 밝혀졌다. 중국 최고 지도부는 자오 전 총서기의 죽음이 반정부 시위의 도화선으로 작용할 것을 우려해 그의 장례식을 ‘가족장’으로 하도록 할 방침이었으나, “예우가 너무 소홀하다”는 불만이 새로운 문제를 낳을 수 있어 묘안을 짜내는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베이징 외교소식통은 후진타오 국가주석과 원자바오 총리, 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등 중국 최고 지도부가 지난달 5일 자오의 병세가 악화돼 베이징의원에 입원한 이래 매일 그의 병세에 관한 보고를 들었으며, 사후 처리에 관해서도 토론했다고 전했다. 홍콩 <동방일보>는 18일 후 주석이 장쩌민 전 주석과도 이 문제를 논의했으며, 두 사람은 자오에 대한 장례식과 발인, 추도식 등을 모두 ‘가족장’으로 처리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장례를 너무 소홀하게 치를 경우 “당 내부와 민간에서 불만이 터져나와 더 나쁜 결과를 낳을 것을 우려”해 “조용한 가운데 최선의 예우를 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쿵취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8일 정례 브리핑 때 “자오의 장례식이 어떻게 치러지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얘기해줄 수 있는 정보가 없다”고 얼버무렸다. 그러나 허중산 공산당중앙당교 교수 겸 중국근현대사 사료학회 부회장은 이날 “자오 전 총서기는 1989년 당·정의 모든 직무를 면직당했지만 당원 신분은 유지됐으며 ‘퇴직·휴직한 당·국가 지도자’에 해당하는 예우를 받았다”고 지적했다. 또 홍콩 <태양보>는 18일 “자오 전 총서기가 중국 국무원 총리를 8년 동안 역임했기 때문에 ‘중화인민공화국 국기법’ 14조에 따라 ‘조기’를 게양해 애도를 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홍콩의 중국인권민주운동정보센터는 자오의 가족들이 이날 “아직 중앙에서 장례식을 어떻게 치를지 방침이 전달된 게 없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이 센터는 “자오가 임종하기 1시간 전인 17일 새벽 6시에 쩡칭훙 국가 부주석이 병원에 도착해 자오의 병세를 돌아봤다”고 전했다. 중국 관영 <인민일보> <광명일보> 등은 18일 <신화통신>에 실린 자오 사망 관련 발표문 56글자를 그대로 전재하는 데 그쳤고, 자오 사망을 보도한 외신의 인터넷 페이지와 베이징대학의 사설 토론방 ‘베이다웨이밍’에 오른 자오 전 총서기를 추도하는 글 등은 모두 차단당했다. 또 이날 베이징의 한국기업체들과 주재원에게 배달된 한국 신문에 실린 자오 사망 관련 기사도 상당수가 도려내어진 채 배달된 것으로 확인됐다. 베이징/이상수 특파원 leess@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