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4.27 20:23 수정 : 2011.04.27 20:23

학술·문화교류 취소 대응

‘인권’과 ‘민주화’는 미국과 중국의 외교에서 늘 ‘뜨거운 감자’다. 지금 양국은 아랍권의 반정부 민주화 시위를 둘러싸고 은근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미국 정부는 최근 중국의 ‘외교적 무시’에 대한 반격으로 중국 지배층 인사들과 그 가족들의 미국 비자 발급을 더욱 까다롭게 할 것이라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가 27일 보도했다. 중국 정부가 미국이 주관하는 학술, 문화 교류프로그램들을 잇따라 취소한 데 대한 대응 조처다.

발단은 지난 2월20일 중국에서 아랍권의 반정부 시위 물결에 자극받은 ‘재스민 혁명 지지 시위’가 일어났을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존 헌츠먼 주중 미국대사가 시위 장소인 베이징 왕푸징 거리에 서있는 모습이 사진과 동영상으로 인터넷에 확산되면서 논란이 인 것.

중국 공산당은 ‘재스민 혁명’뿐 아니라 ‘헌츠먼’이란 이름까지 인터넷 검색 금지어로 지정한 데 이어, 지방의 고위 관리들에게까지 헌츠먼과의 미팅 약속을 취소하라고 지시했다고 한다. 그러자 미국은 중국 외교관과 고위관리, 국영기업 경영자, 관영 언론매체 기자, 당 간부의 자녀 등 중국 외교부가 지명하는 인물들에 대해 신속하게 비자를 발급해주던 특혜를 중지할 것임을 내비쳤다.

미 당국의 한 관리는 “중국이 미 정부가 지원하는 각종 프로그램들과 회담을 취소한 현재 분위기를 고려해, 우리도 중국 관리들과 그 가족들에 대한 비자 발급절차를 재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은 시진핑 부주석의 딸과 보시라이 충칭시 서기장 및 첸유안 중국개발은행장의 아들이 하바드대에 다니는 등 고위급 인사 상당수가 자녀들을 미국 아이비리그 명문대에 유학시키고 있다.

조일준 기자 ilju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