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7.07 18:45 수정 : 2005.07.07 18:45


중·러와 중앙아 4개국 모임 카자흐서 성명
“중앙아 주둔 미군 조기철수를…외세 반대”

중국, 러시아가 중앙아시아 4개국과 함께 ‘반미 연합전선’ 을 구축하고 있다.

상하이협력기구(SCO)를 구성하고 있는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6개국 정상들은 지난 5~6일 카자흐스탄 수도 아스타나에서 열린 정상회의에서 미국을 겨냥한 2개의 성명을 잇따라 발표했다.

첫째는 중앙아시아 주둔 미군의 조기 철수이고, 두번째는 ‘색깔혁명’으로 불리는 이 지역의 정권 교체에 ‘외세’가 개입하는 것을 반대하는 것이다. 홍콩 〈동방일보〉는 이 기구가 “이미 사실상 일정한 반미 연합전선을 형성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금까지 이 기구는 지역 에너지 공동개발, 공동 안보 등의 문제를 논의해왔으나, 미군 철수 등 ‘정치적’ 주장을 분명하게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들은 “아프가니스탄의 반테러 전쟁이 이미 마무리됐기 때문에 미군을 비롯한 반테러 연맹군은 철군 시한을 정해 밝힌 뒤 이에 따라 중앙아시아에서 철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군은 2001년 9·11테러를 계기로 아프가니스탄 외에도 키르기스와 우즈베크, 타지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3개국에 공군기지를 두고 있다.

상하이협력기구 회원국들은 연합부대를 구성할 뜻도 밝혔다. 명분은 “테러주의, 분열주의, 극단주의에 맞서기 위한” 것이다. 유사시에 대비한 회원국들의 연합부대가 구성될 경우 이 지역에서 미국의 정치·군사적 개입 여지는 축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상들은 최근 중앙아시아 각국의 불안한 정정을 거론하며 미국에 대한 경계심을 감추지 않았다. 지난 3월 키르기스에서 ‘레몬혁명’으로 아카예프 대통령이 물러나고, 이어 지난 5월 우즈베크에서 정부군이 시위대에 발포해 수백명이 숨져 국제적인 문제가 된 배후에 미국의 입김이 있다는 강력한 의구심이 반영된 것이다.

또 미국이 ‘악의 축’으로 규정한 이란을 비롯해 파키스탄, 인도, 몽골 등 4개국에 옵서버 자격을 주기로 했다. 상하이협력기구의 이런 움직임은 ‘유라시아’를 무대로 벌어지고 있는 미국과 중국, 러시아 등 강대국들의 주도권 다툼에 큰 변수가 될 전망이다.

지난 2001년 6월 정식 출범한 이 기구 6개 회원국의 국토는 약 3000㎢로 유라시아 대륙의 60%를 차지한다. 인구는 14억8900만명으로 세계 인구의 4분의 1이나 된다. 특히 중동과 카스피해 등 에너지 공급지들로 통하는 길목에 있는 전략적 요충지다. 옛 소련 시절 정착된 산업구조로 인해 지금도 러시아와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크다.

미국이 9·11 동시테러 이후 경제·군사 원조를 무기로 이 지역을 세력권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애쓰고 있으나, 정권 유지에 위기감을 느낀 이 지역 정부들은 다시 중국과 러시아쪽으로 기울고 있다.

베이징/이상수 특파원 leess@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