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2.01.09 22:58
수정 : 2012.01.09 22:58
단독·확대 정상회담
한반도 비핵화도 재확인
9일 베이징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선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 이후 한반도 정세와 중국 어민들의 서해 불법 어로 문제도 현안으로 다뤄졌다.
약 40분 동안 진행된 이명박 대통령과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의 단독 정상회담은 역시 한반도 정세에 대한 논의로 채워졌다. 두 정상은 먼저 한반도의 비핵화 및 평화와 안정이 양국의 공동 목표라는 점을 재확인했다고 김태효 청와대 대외전략비서관은 전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이후 한·중 정상의 전화 통화가 이뤄지지 않는 등 한-중 관계에 균열이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왔던 점에 대한 대응으로 풀이된다.
특히, 후 주석은 이 자리에서 “(김 위원장 사망 이후) 한국 정부의 대북 기조를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 한국 정부가 북한에 보여주는 차분하고 여유 있는 태도에 대해 높이 평가한다”며 이 대통령을 치켜세웠다. 후 주석은 북핵 문제와 관련해서도 “당장 어려움이 있지만 6자회담이 재개될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들어 나가자”고 했다. 앞서, 이 대통령은 “필요하면 6자회담 선결 조건을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관련국들의 대화가 재개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태효 비서관은 이와 관련해 “중국도 북한이 안정을 되찾기 전에 당장 6자회담이 어렵다고 보는 듯하다”며 “오늘 회담에서 양쪽이 구체적인 얘기가 오간 건 없다”고 말했다.
이어 열린 두 정상의 확대 정상회담에선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외에 중국 어민의 서해 불법 조업이 논의 테이블에 올랐다. 이 대통령이 먼저 “불상사가 재발하지 않도록 예방을 위해 중국 쪽의 효과적인 조처를 희망한다”고 지적했다. 후 주석은 이에 대해 곧바로 “한국이 이 문제에 대해 가지고 있는 관심을 고도로 중시하고 있다”며 “앞으로 중국 어민에 대해 관리를 강화하고, 한-중 당국 간 협력체제도 강화하겠다”고 화답했다. 두 정상은 어업공동위원회, 한-중 어업지도단속 실무회의, 한-중 수산 고위급 회담, 한-중 영사국장 회의 등 당국 간 협력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중국 쪽이 미리 준비된 답변을 내놓은 것으로 보인다. 김 비서관은 “어업 문제와 관련해 중국 쪽 답변이 상당히 성의 있게 들렸다”며 “이 대통령도 만족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금락 청와대 홍보수석은 “중국 쪽이 노력할 것 외에 우리 정부도 우리 몫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안창현 기자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