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입 차단·어업 지도선 확대
“핵심 이익에 도전 용납 안돼” 필리핀에 대한 경제적 압박 카드도 시작됐다. 중국의 주요 여행사들은 당국의 조처에 따라 필리핀으로 가는 단체여행을 중단해 중국인들의 필리핀 관광이 사실상 끊긴 상태라고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국가질검총국은 9일 사이트에 필리핀에서 수입되는 과일에서 박테리아가 자주 발견돼 검역을 강화한다고 발표했다. 중국은 필리핀 바나나 수출의 절반을 소화할 정도로 주요 시장이다. 구두 경고도 거칠어지고 있다. <환구시보>는 10일 1면에서 ‘필리핀이 전쟁 정서를 부추기고 있다’고 비난했고, <신화통신>은 “중국은 이웃국가들과 우호관계를 유지하길 원하지만, 핵심 이익의 최저선에 대한 도전은 용인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중국 외교부의 푸잉 부부장은 8일 알렉스 추아 주중 필리핀 대리대사를 불러 “필리핀의 긴장 고조 행위에 대응할 만반의 준비가 돼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필리핀
정치인·민간단체 등 항의 시위
“무력 충돌 땐 미 지원받을 것” 필리핀 정치가들과 민간단체들은 11일 국내를 비롯해 미국, 캐나다 등 각국의 중국 대사관·영사관 앞에서 항의시위를 벌일 예정이다. 알베르트 델 로사리오 필리핀 외무장관은 성명을 발표해 “미국은 남중국해에서 무력 충돌이 발생하면 상호방위조약에 따라 필리핀을 지원할 것임을 재확인했다”고 강조했다. 필리핀은 지난달 16~27일 미군과 함께 남중국해에서 대규모 해상훈련을 실시하는 등 미국과의 군사적 관계를 강화해 왔다. 싱가포르국립대학 양팡 교수는 <비비시>(BBC) 방송 중국어판에 “1974년 중국과 베트남이 시사군도를 둘러싸고 무장 충돌을 벌인 것처럼, 이번에 중국과 필리핀 사이에 소규모 무력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내다봤다. 하지만 그는 “필리핀의 배후에는 미국이 있고, 동남아 국가들도 중국에 경계심을 가진 상태에서 중국은 충돌이 확대되는 것은 최대한 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