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12.02 20:53 수정 : 2012.12.02 21:35

북에 친서 전달 직후 발표돼 당혹
침묵속 대응 고심…의중 파악 분주
고위급 인사 평양 재파견 가능성도

북한의 장거리로켓 발사 계획 발표로 중국은 시진핑 체제 출범 뒤 첫 외교 시험대에 서게 됐다.

북한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중국의 반응에 전세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지만, 중국 정부는 2일 오후까지도 공식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다. <신화통신> 등 중국 관영 언론들도 북한 <조선중앙통신>의 보도를 그대로 인용해 주요뉴스로 보도하고 있을 뿐 논평은 일절 내놓지 않고 있다. 중국이 그만큼 고민스러운 입장에 처해 있다는 반증이다. 중국은 당대당과 외교채널을 통해 북한의 정확한 의중을 파악한 뒤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리젠궈 중국 공산당 정치국위원이 북한을 방문해 김정은 조선노동당 제1서기를 만나 시진핑 총서기의 친서를 전달한 바로 다음날 북한이 발사 발표를 한 상황은 중국을 더욱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리 정치국위원이 김정은 제1서기에게 로켓 발사를 자제해 줄 것을 완곡하게나마 촉구했을 가능성이 높지만, 중국의 영향력이 통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북한이 리젠궈 정치국원에게 발사 강행 입장을 미리 통보했는지도 관심사다.

중국은 우선 모든 채널을 가동해 북한을 설득해 발사를 막기 위해 노력할 것으로 보인다.

베이징의 외교 소식통은 “북한이 발사를 강행하면 중국이 기대해온 남북관계 개선, 북미대화, 6자회담 재개가 큰 차질을 빚게 되기 때문에 중국은 이번 사안을 굉장히 심각하게 보고 있다”면서 “이번 사태의 향방이 시진핑 지도부의 대북정책 방향에도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북한의 장거리로켓 발사가 앞으로 한반도와 동북아 정세의 향방을 결정할 수 있는 사안이라는 점에서 중국 당국이 고위급을 평양에 재차 파견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최근 한국, 미국에 북한의 장거리로켓 발사가 유엔 안보리 결의에 어긋난다는 입장을 내비춰 온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북한이 실제로 발사를 강행한다면, 중국은 유엔 안보리에서 북한에 대한 강력한 제재에는 주저할 가능성이 크다. 시진핑 체제 출범 뒤 국내 문제 해결에 힘을 쏟고 있는 중국으로서는 북한의 내부 안정이 대북정책의 최대 고려 사항이기 때문이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