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9.06 02:00 수정 : 2005.09.06 02:00

유럽연합(EU) 회원국 세관에서 쿼터초과로 발이 묶인 중국산 섬유를 처리하기 위한 EU와 중국 간 섬유쿼터 추가협상이 5일 타결됐다.

피터 만델슨 EU 통상담당 집행위원과 보시라이 중국 상무부장은 이날 마라톤 협상 끝에 양측이 쿼터초과 중국산 섬유 물량의 절반씩을 각자의 쿼터로 부담하는 내용의 타협안을 이끌어냈다.

현재 EU 회원국 세관창고에 쌓여있는 중국산 의류 8천만점 가운데 절반은 EU가 쿼터를 늘려주는 형식으로 수용하고 나머지 절반은 중국의 내년 쿼터량에서 공제하는 방식이다.

이번 타결안이 EU 25개 회원국들의 승인을 받을 경우 EU 회원국 세관에서 압류된 중국산 섬유는 즉각 통관절차를 거쳐 회원국 의류수입상 또는 소매상 진열대로 향하게 된다.

만델슨 위원은 양측이 쿼터초과분의 부담을 반씩 나누기로 한데 대해 "만족스럽고 공평한 방식"이라고 만족감을 표하고 "회원국들이 현명하고 합리적인 타결안이라고 느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원자바오 중국총리도 기자회견에서 "협상결과가 공정하고 공평하다고 확신할 수 있다"면서 "양측 모두 받아들일 수 있으며, 양측 산업계와 소비자들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앞서 양측은 지난 6월 중국산 섬유류 10개 품목에 대해 쿼터를 다시 도입키로 합의했으나 쿼터를 소진한 중국산 섬유 품목이 급증하면서 EU 회원국 세관창고에서 8천만점에 달하는 중국산 의류가 압류된 채 쌓이게 됐다.

이에 분노한 EU 역내 의류소매상 등이 조속한 세관통과를 요구하며 압박을 가함에 따라 EU 집행위는 지난 달 말 중국에 협상단을 급파해 4일동안 추가협상을 벌였으나 합의를 이끌어내는데 실패했다.

특히 이 문제의 처리를 놓고 EU 회원국 가운데 섬유산업 비중이 높은 프랑스, 이탈리아, 포르투갈, 스페인 등 남유럽 국가들은 중국의 양보를 얻어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북유럽 국가들은 중국산 섬유류의 신속한 통관을 촉구하는 등 남북으로 분열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브뤼셀=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