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이징 모터쇼. (AP/연합뉴스)
|
‘정보통신 회사’가 만들어 내놓은 자동차 주목
교통수단의 전기차 전환 전망도
25일 개막한 베이징 모터쇼에 러에코(LeEco·러스인터넷정보기술)가 출품한 자율주행 전기차 ‘러시’(LeSee)의 앞머리는, 여느 차량처럼 부릅뜬 ‘눈’이 없었다. 미소를 띤듯 꼬리가 살짝 올라간 입술만 있었다. 흑과 백으로만 구분된 차체는, 마치 사람의 몸처럼, 어디서도 직선을 찾을 수 없었다. 러시는 공상과학영화의 ‘미래 차량’을 방불케 하는 외관으로 전시장 내 뭇 시선을 끌었다.
하지만 러시가 주목받는 이유는 외관 뿐만이 아니다. 이 자동차를 만든 러에코는 본디 ‘러스’라는 이름의 동영상사이트를 기반으로 한 회사다. 흔히 ‘중국판 넷플릭스’라고 불렸던 러스는 2004년 동영상 플랫폼으로 창업해 영화·드라마 등 콘텐츠 산업으로 진출한 뒤, 뒤이어 휴대전화·텔레비전 등 단말기와 각종 응용프로그램으로 ‘생태계’를 넓히면서 ‘러스 모델’이란 용어를 탄생시키기도 했다. 자동차는 이같은 가장 최근 확장한 생태계 영역이다. 결국 러시는 ‘정보통신 회사’가 만들어 내놓은 자동차인 셈이다.
|
베이징 모터쇼. (AP/연합뉴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