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2.01 18:58 수정 : 2005.02.01 18:58

혁명공묘 제1호실 안치놓고
당국-유족·지지자 갈등설

지난달 29일 사망 13일만에 장례식을 치른 자오쯔양 전 중국공산당 총서기의 유골이 베이징 왕푸징 푸창후퉁 6번지 자오 전 총서기의 집으로 되돌아 온 일을 둘러싸고 적지 않은 의문들이 떠돌고 있다.

우선 자오 전 총서기의 장례가 유족들의 참여 아래 진행됐다는 건 장례 등 사후절차에 관해 당국과 유족이 어떤 ‘합의’에 이르렀기 때문이라는 데는 관측자들이 의견을 같이 한다. 그러나 장례식을 치른 뒤 결과적으로 유족은 얻은 게 아무것도 없다. 장례식은 바바오산 혁명공묘에서 치렀지만 국가 영도자들이 안치되는 혁명공묘 제1호실에 안치되지도 못했고, 장례식날 낮 12시에 발표된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자오 전 총서기를 여전히 ‘동지’라고만 지칭하며 개혁개방 초기의 공헌과 더불어 “1989년 엄중한 과오를 저질렀다”는 평가를 되풀이했다.

베이징 외교가의 관측통들은 그의 유골이 옛 집으로 되돌아 간 것은 △당국이 자오 전 총서기의 유골을 바바오산 혁명공묘 제1호실 대신 ‘국장급’ 지도자들의 납골당에 안치하려 했고 △〈신화통신〉에서 이전의 시각을 그대로 유지한 데 대해 유족들이 반발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이런 결정이 유족들 사이에서만 내려진 게 아니라, 적지 않은 퇴직 원로와 자오 전 총서기의 지지자들이 중론을 모았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한 중국 전문가는 “자오 전 총서기의 유해가 푸창후퉁으로 되돌아감으로써 그의 사망이 낳은 사태가 종결되지 않고 잠복하는 결과를 낳았다”고 지적한다. 자오 전 총서기의 죽음으로 조성된 베이징의 긴장은 아직 풀리지 않은 셈이다.

베이징/이상수 특파원 leess@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