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11.25 19:09 수정 : 2005.11.28 03:49

자동차 붐에 밀려 “아∼옛날이여” 중국 전동자전거 찬밥신세

[지구촌풍경] 환경오염·사고 주범 몰아…이용자들 “교통정책 후진”


‘자전거 천국’에서 ‘자동차 천국’으로 빠르게 변신하고 있는 중국에서, 한때 도로의 주인공이었던 자전거 이용자들이 천덕꾸러기 신세가 되고 있다.

중국의 여러 도시들이 대로에서 전동 자전거 타는 것을 금지시키자 이용자들이 발끈하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가 최근 보도했다. 지난 7월1일 중국 광둥성 주하이시 의회가 공공도로에서 전동 자전거 이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킨 데 이어, 내년 1월에는 베이징도 비슷한 법안을 통과시킬 예정이다. 푸저우, 광저우, 원저우에서도 전동 자전거 주행이 금지됐다.

주하이시 당국은 전동 자전거가 교통정체와 잦은 교통사고의 주범이며, 이용자들이 석달마다 배터리를 바꾸면서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어 금지시킬 수 밖에 없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궈하이옌 중국자전거협회 사무국장은 “자전거 전용차로를 없애 보행자와 전동 자전거가 같은 공간에서 다니게 만든 주하이 시정부의 정책 때문에 사고가 늘었다”면서 “대부분 배터리를 재활용하기 때문에 환경오염도 크지 않다”면서 “유럽 등에서는 전동 자전거가 에너지를 적게 쓰고 환경오염도 적은 교통수단으로 지원까지 받고 있는데 중국은 거꾸로 가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전동 자전거를 이용하는 인구는 중국 전역에서 150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자전거 이용자들은 “관용차를 타고 다니는 관리들이 ‘가마문화’에 젖어 서민들의 교통 현실을 외면하고 있다”며, “이러다간 5억명 이상이 이용하는 일반 자전거를 제한하는 정책도 나올지 모를 일”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자동차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국내 시장에서 자동차 붐을 일으키려 하고 있으며, 국내외 100여개 자동차 기업들이 중국 시장을 놓고 치열한 저가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 때문에 자동차가 급증하면서 대도시 교통정체가 극심해졌을 뿐 아니라 에너지 문제도 심각하다고 교통정책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중국 석유대학의 천몐 교수는 “중국이 본격적인 ‘자동차 사회’로 진입하면 지금보다 자동차가 20배 늘고 전세계 석유의 절반을 소비하게 될 것”이라며 “어떻게 세계가 그런 석유소비를 감당할 수 있을지 상상할 수 없다”고 말한다. 100명당 자동차 소유 비율은 아직은 전세계 평균(12.7대)의 6분의 1 수준인 2대이다. 한국은 27대, 일본 56대, 미국 78대 수준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