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1국 2체제’ 다시 시험대에
홍콩 시민들의 민주화 시위가 다시 불붙고 있다. 지난 4일 홍콩에선 시민 25만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보통선거(직선제) 쟁취를 위한 시위’가 벌어졌다. 시위대의 핵심 요구는 행정 수반인 행정장관과 입법기관인 입법의원 직선제 요구이지만, 실제로는 주민들의 광범위한 민주화 열망이 강하게 표출된 것이라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전했다. 이에 따라 ‘1국 2체제’를 기반으로 한 중국 대륙의 홍콩 지배 틀이 다시 시험대에 올랐다. 1997년 중국에 반환된 홍콩은 현재 행정장관을 선거인단을 통한 간접선거 방식으로 뽑는다. 임기는 5년이며 선거인단을 통한 간선제이다. 또 60명의 입법의원중 30명만 직선으로 뽑고 나머지는 직능별 간접선거로 선출한다. 베이징 당국은 그러나 홍콩 민주파의 요구대로 입법의원 전원과 행정장관에 직선제를 허용할 경우, 그 바람이 대륙으로 번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이날 시위의 불씨가 된 건 지난 10월 홍콩 정부가 내놓은 ‘정치개혁안’이다. 이 개혁안은 직선제 도입 문제는 전혀 언급하지 않은 채 행정장관 선거인단을 현행 800명에서 1600명으로 늘리고, 입법의원 수를 60석에서 70석으로 늘리는 내용만을 담고 있다. 도널드 창 홍콩 행정장관은 이 개혁안을 설명하면서 직접선거는 2007년 이후에 논의하자고 말했으나, 민주파 의원들은 ‘직선제 도입’ 일정이 전혀 명시되지 않은 이 개혁안이 “중국 대륙의 눈치를 본 타협적인 개정안”이라며 거부하고 있다.
|
홍콩 정치 민주화 관련 주요 일지
|
베이징/이상수 특파원 leess@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