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5.12.16 18:01
수정 : 2005.12.16 18:01
|
1달러 당 중국 위안화 가치 변화
|
정부기관 “내수확대 여부따라 결정될듯”
인민은행 총재는 “가까운 시일안엔 안해”
위안화(인민폐) 추가 평가절상 문제가 다시 중국 금융계의 뜨거운 화제로 떠오르고 있다.
저우샤오촨 중국 인민은행 총재는 지난 12일 “내년 1월1일 추가로 위안화를 평가절상할 것이라는 일부 외신 보도는 맞지 않다”며 “중국 인민은행은 가까운 시일 안에 위안화 변동폭을 확대할 계획도 없다”고 명확하게 내년 초 추가 절상설을 부인했다.
그러나 중국 국무원 발전연구중심은 14일 보고를 통해 “(7월21일 시행한) 위안화 환율제도 개혁이 평가절상의 압력을 완화하지 못할 경우 위안화 환율 변동폭을 앞당겨 확대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혀 여운을 남겼다. 발전연구중심의 이 보고는 “중국은 새 환율시스템이 시장에서 완전히 소화되길 기다려야 한다”고 전제한 뒤 “그럼에도 위안화 평가절상 압력을 가중시키는 각종 원인이 해소되지 않는다면 위안화 환율의 변동폭을 앞당겨 확대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 보고는 그러나 위안화 변동폭을 ‘앞당겨’ 확대할 경우 언제 어떤 조처를 취할 것인지 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했다. 발전연구중심의 보고는 현재 ±0.3% 범위 안에서 허용하고 있는 변동폭을 확대하는 방식을 통해 추가 평가절상의 효과를 발생시키려 함을 시사하는 것이어서 주목을 끈다.
이 문제와 관련해 바수쑹 국무원 발전연구중심 금융경제연구소 부소장은 15일 “내년 위안화 환율 평가절상 문제는 중국에서 내수 확대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뤄지느냐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고 <중국증권보>가 16일 보도했다. 위안화 평가절상이 미국의 대중국 무역 적자 해소 등을 위해 단행되는 게 아니라 내수 소비의 증가 등 국내 요인의 필요성이 제기될 경우 단행할 것이라는 주장이다. 바 부소장은 외환보유고도 위안화 평가절상 압력을 증가시키고 있음을 내비쳤다. 바 부소장은 “현재 추세로 간다면 내년 중국의 외환보유고는 1조 달러를 넘어설 전망”이라며 “외환보유고가 이렇게 증가할 경우 중국 경제와 금융구조에 큰 부담을 줄 수 있다”고 지적해 이 부담의 해소를 위해 위안화 추가 절상을 피하기 어려울 것임을 내비쳤다.
그러나 중국이 내년 초 위안화 절상을 추가로 단행하더라도 소폭에 지나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이 많다. 김범수 우리은행 베이징지점장은 16일 “중국 정부는 한계기업의 도산과 실업자 증가 등 국내 변수를 더 중시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며 이렇게 내다봤다. 중국 정부는 지금까지 기회있을 때마다 위안화 절상에 대해 △점진적이고 △통제 가능하며 △(외부의 간섭 없이) 주체적으로 할 것이라는 원칙을 밝혀왔다. 베이징/이상수 특파원
leess@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