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3.14 01:04 수정 : 2006.03.14 01:04

독일 공공서비스노조(페어디 Ver.di)의 파 업이 6주 째 계속되고 있으나 타협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대연정 정부에 참여하고 있는 사민당(SPD)이 중재에 나서 협상 타결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주말 주정부 당국자들과 노조 간 마라톤 협상이 결렬됨에 따라 공공노조는 13일 파업을 계속할 것임을 천명했다. 공공노조는 주정부 당국자들의 대표성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연방정부 차원의 협상 파트너를 요구하고 있다.

독일 시사주간지 슈피겔 인터넷판은 주정부 당국자들의 협상력이 한계에 도달했다고 지적하고 이제 노조와 사민당이 협상 테이블에 나설 것이라고 전했다.

마티아스 플라첵 사민당 당수는 "국민은 우리에게 신속하고도 장기간의 효력을 발휘할 수 있는 해결책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하고 "그러나 이 해결책은 누구에게도 희생을 강요하는 것이 되어서는 안된다" 밝혔다.

한편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이번 공공노조 파업사태에 관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독일 정부 대변인이 밝혔다.

이 대변인은 임금 협상의 자율성은 기본법(헌법)에 보장돼 있다고 말하고 이에 따라 정부는 이번 사태에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공공노조는 파업 찬반투표에서 94.5%의 압도적인 지지로 파업을 결의했으며, 지 난 달 6일부터 바덴-뷔르템베르크주를 시작으로 정부의 노동시장 연장에 항의하는 릴레이 파업 시위를 벌이고 있다.

공공노조의 이번 파업에는 독일 전체 16개주 중 12개주가 참여하고 있다.


공공노조는, 정부가 주당 노동시간을 현행 38.5시간에서 40시간으로 늘리는 것 은 공공 부문에서 25만개의 일자리를 줄이려는 의도라고 주장하고 있다.

독일에서 공공부문 노조가 전국적인 규모의 파업을 벌이는 것은 지난 1992년 이 후 14년만에 처음이다.

공공노조는 파업으로 인한 주민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전체 노조원이 한꺼번에 파업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파업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송병승 특파원 songbs@yna.co.kr (베를린=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