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3.20 21:53 수정 : 2006.03.20 21:53

독일 공공서비스노조(페어디 Ver.di)의 파 업이 7주째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중재 노력이 실패로 돌아가 파업이 장기화할 우려를 낳고 있다.

중재단은 업무 영역에 따라 차별적으로 근무시간을 연장하는 방안을 제시했으나 바덴-뷔르템베르크주 공공노조와 주정부측은 모두 이 중재안을 거부했다고 독일 공영 ARD 방송이 20일 보도했다.

노조측은 중재안에 따르면 주당 근무시간이 38.5시간에서 39.1시간으로 늘어나는 것이라고 지적하고 어떤 형태의 근무시간 연장도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사용자측도 기존의 근무시간으로는 재정이 뒷받침될 수 없다며 팽팽히 맞서고 있다고 이 방송은 전했다.

파업이 장기화하면서 쓰레기 처리 등 공공서비스에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정부는 민간 용역회사에 쓰레기 처리를 맡기고 있다.

주정부측 협상 대표는 공공서비스 분야를 민간 업체에 더 많이 위탁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며 노조측을 압박하고 있다.

공공노조는 파업 찬반투표에서 94.5%의 압도적인 지지로 파업을 결의했으며, 지 난 달 6일부터 바덴-뷔르템베르크주를 시작으로 정부의 노동시장 연장에 항의하는 릴레이 파업 시위를 벌이고 있다.

공공노조는, 정부가 주당 노동시간을 현행 38.5시간에서 40시간으로 늘리는 것 은 공공 부문에서 25만개의 일자리를 줄이려는 의도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번 공공노조의 파업에는 전체 16개주 중 12개가 참여했으며 함부르크 등 일부 주는 근무 분야와 개별적인 사정에 따라 탄력적으로 근무시간을 조정하는 데 합의했다.


독일에서 공공부문 노조가 전국적인 규모의 파업을 벌이는 것은 지난 1992년 이 후 14년만에 처음이다.

공공노조는 파업으로 인한 주민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전체 노조원이 한꺼번에 파업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파업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송병승 특파원 songbs@yna.co.kr (베를린=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