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5.21 18:04 수정 : 2006.05.21 18:04

외국인 범죄자를 국외 추방하지 않고 그대로 석방해 장관 인책 사퇴를 빚은 영국 내무부가 전과자 데이터베이스의 오류, 성 상납 요구 스캔들 등으로 또 다시 언론의 비판을 받고 있다.

내무부 산하 범죄기록국(CRB)은 무고한 사람 1천500명을 범죄자로 데이터베이스에 잘못 올린 사실이 드러났고, 런던 남부 크로이든의 이민국 관리는 망명 신청을 요구한 10대 여성에게 성 상납을 요구했다가 적발돼 물의를 빚고 있다.

데일리 메일의 일요판 신문인 메일 온 선데이는 21일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범인이 된 사람들 중 일부가 범죄기록국의 오류 때문에 직업을 거절 당하고 대학에서 자리를 얻지 못했다고 보도했다.

내무부는 이 사람들의 신상명세서가 범죄 전과자와 비슷해서 이런 실수가 생겼지만 이 같은 오류로 인한 문제 중 90%가 21일 내에 바로 해결됐다고 주장했다.

내무부는 "범죄기록국의 최우선 임무는 신뢰가 필요한 자리에 사람을 채용하는조직들을 지원함으로써 취약한 어른과 어린이를 보호하자는 것"이라며 "유감스럽지만 이같은 오류 사례는 범죄기록국이 2002년 3월 이래 외부에 제공한 전체 데이터베이스 중 0.03%에 불과하다"고 강변했다.

한편 가디언 신문의 일요판인 옵서버는 21일 크로이든 루나하우스에서 일하는 이민담당관 제임스 도우트(53)가 짐바브웨 출신 타냐(18)라는 여성에게 망명 자격을 주겠다며 섹스를 요구했다고 폭로했다.

자녀 4명을 둔 기혼남인 도우트는 17일 한 카페에서 타냐를 전화로 불러 만났으며, 타냐와 도우트의 대화는 타냐의 몸에 내장된 몰래 마이크에 모두 수록됐다.

내무부는 도우트를 정직 처분하고 이 사건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루나하우스는 지난 1월에도 일부 직원들이 비자를 신청한 외국 여성들의 대기순번을 앞당겨주는 조건으로 성을 요구한 사실이 드러나 조사를 받은 바 있다.

이 조사 결과 1997년 이래 최소한 4명의 여성 비자신청자가 루나하우스의 이민 담당 직원으로부터 성 상납을 요구받았다고 말했다.

김진형 특파원 kjh@yna.co.kr (런던=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