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으로 유럽연합내 국가들간의 경제적, 정치적 차이의 문제이다. 부자 국가들은 각자의 이해에 따라 새로운 회원국가 (동유럽국가들)들의 노동자들에게 국경선을 폐쇄하거나 열거나했다. 2004년 15개국에서 25개국으로의 확대시 서유럽 국가들은 동유럽 노동자, 특히 폴란드 노동자의 대량 유입을 두려워했다. 하지만 이러한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이탈리아 및 몇몇 국가들은 이들 노동자들에 대해 국경선의 빗장을 걸었고, 반면에 영국과 아일랜드는 이들을 받아들여 그들의 경제를 촉진시키는데 이용했었다. 2007년에 불가리아와 루마니아의 회원 가입 후 독일과 오스트리아는 그들의 국경선을 닫았고 이탈리아는 빗장을 열었다. 헬무트 쉬미트(Helmut Schmidt)는 유럽연합은 회원국 확대에 있어 너무나 서둘렀다고 주장한다. 그에 따르면, 유럽연합 기능의 기본적 규칙은 단지 초기 6개 국가들만이 인지했다는 것이다. 80년대, 회원국이 12개가 되었을 때 그 기능과 그 결정 과정에 대한 규칙의 적응이 긴급하게 필요하다는 것을 유럽 공동체(European community, EC) 회원국들은 직면하게 되었다. 90년대에 15개 국가로 되었을 때, 이 규칙들은 더 이상 필요되지 않게 되었다. 유럽 의회의 규칙들은 절대적으로 현실에 맞지 않았고, 브뤼셀의 관료제는 매년 증가 상태에 있었으며, 규칙들의 유용한 개념에 대한 합의를 찾을 능력을 보여주지 못했다. 2000년대의 시작과 함께 어떻게 앞으로 나아갈지 더 이상 알지 못했고, 단지 국가 대표자 회의 (convention)를 창조했다. 유럽연합에 있어 가장 의미있으면서, 가장 해를 끼친 것은 2004년 15개 국가에서 25개 국가로 확장을 서둘렀을 때였다. 이제 루마니아와 불가리아가 2007년에 가입해 27개국으로 증가된 상태이다. 유럽연합은 최근 50여전 까지 국가간 분쟁 이후에 만들어졌다. 정부들과 국가(민족)적 편견들, 서로 다른 정치적/문화적 감수성간의 라이벌 의식 등으로 EU 회원국들은 시리즈 A, 시리즈 B, 시리즈 C 등으로 보이지 않는 구분이 지어져왔다. 그 이외에 언어 사용의 문제 (평등의 원칙하에서 각 모든 회원국의 언어를 사용하지만 정책 수행에 있어 비효율적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대 이라크 전쟁에 대한 반응에 있어 찬성 국가와 반대 국가로 나누어진 것을 보았고, 유로에 대한 실망 등이 있었다. 게다가 다양한 정치 파벌들간에 열린, 장기간 분쟁에 대처할 제도적, 문화적인 기구들이 아직껏 준비되지 못하고 있다. 좌파-우파 갈등 등 이데올로기적/프로그램적 분쟁, 유럽 페더럴리스트와 반-EU주의자간의 갈등이 남아있다. 부유한 국가들은 유럽연합에 대한 지출을 줄이려고 하고, 가난한 국가들은 유럽연합으로부터 더 많은 이익을 얻으려고 한다. 여지껏 각 국가들은 자기들의 이해에 중점을 두고 있고, 유럽연합 권위를 존중하지 않고 있다. 유럽연합위원회는 단지 각 회원국들이 유럽연합 협약의 준수를 지켜주길 기대할 뿐이다. 예를 들면, 2005년 이탈리아 베를루스꼬니 정부는 재정부족과 경제침체로 인해 안정화 협약 (stability pact)이 제시한 재정 적자 위험수준를 넘어섰다. 유럽연합은 이탈리아 정부에 2007년의 예산 안정화 프로그램을 제출하도록 요구했다. 당시 경제장관이었던 뜨레몬띠 (Tremonti)가 졸속적으로 제출한 2007년의 이탈리아 예산의 회복에 대해 EU 경제 커미셔너인 알무니아(Almunia)는 그것은 새롭고 의미있는 교정 조치라고 하면서 받아들였다. 하지만 이탈리아의 안정화 프로그램은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분명하게 지적하지 않았다. 어쨌든 알무니아는 “목표들은 목표들이고 우리들의 요구와 일관성 있는 것으로 나타나기만 하면 만족된다”라고 말하면서 얼렁뚱땅 넘어갔다. 더 큰 문제는 유럽연합 헌법에 대한 결정이다. 프랑스와 네덜란드는 이 헌법에 대해 국민 투표를 통해 반대 의사를 표시했다. 이 헌법의 결정을 위해 유럽연합은 2007년 3월 2일로 미루어 두고 있다. 국민 투표에서 거부를 표시한 국가들은 그 헌법에 대해 국민들이 찬성을 표시할 때까지 국민투표를 실시해야만 하는 건지, 아니면 국민 투표를 원하지 않은 국가들처럼 국민투표 없이 인준을 시도할 것인지를 결정해야만 한다. 각 국가가 국민의 동의없이 단지 유럽연합 각 회원국들의 대표자 회의에서 이 헌법을 인준한다면 유럽연합은 유럽연합 국민 없이 유럽 국민을 위해 유럽연합을 건설하는 모순적인 상황을 만들어 내는 것을 의미한다. 유럽연합은 각 국민들이 내면적이면서 무의식적으로 느낄 수 있는 공동체적 연관를 제공할 능력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유럽연합 회원국들의 시민들은 그룹 동질성과 새로운 그룹과의 교환없이 서로간의 호전성만을 보여주고 있다. 분리되었지만 평등한 유럽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 슬로건이지만 현재로서는 별 진전이 없어 보인다. 뒤돌아갈 수도 없고 대안 없이 유럽연합을 계속 끌고 나아가야만 하는 처지에 있다. (*이 기사는 네티즌, 전문필자, 기자가 참여한 <필진네트워크> 기사로 한겨레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겨레 필진네트워크 나의 글이 세상을 품는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