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바니아계 주민들이 17일 프리슈티나에서 ‘새로 태어났다(NEW BORN)’는 글자 모양의 독립선언 기념비에서 코소보의 독립을 축하하고 있다. 프리슈티나/AP 연합
|
미국과 영·독·프 등 서방 20국 “곧 공식인정”
러시아 “무효”…유엔결의안 해석 싸고 논란
EU건물에 수류탄…폭력사태로 50여명 부상
발칸반도에 새로운 충돌 가능성을 예고하는 코소보의 독립국가 선언을 인정할 것인지를 둘러싸고 주요국들이 힘겨루기에 들어갔다.
<아에프페>(AFP) 통신은 18일 미국과 영국·독일·프랑스·이탈리아 등이 멀지 않아 코소보의 독립을 공식 인정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러시아는 17일 긴급 소집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코소보 독립선언이 “무효”라는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18일 다시 안보리 소집을 요구했다. 존 쇼어스 유엔주재 영국 대사는 “독립을 무효로 하자는 러시아의 제안을 어느 나라도 지지하지 않았다”며 “사태 해결에 합의하지 못한 것을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중국이 18일 “깊은 우려”를 나타낸 반면, 오스트레일리아는 독립 승인 대열에 뛰어드는 등 국제사회는 자국의 이해관계에 따라 양분되는 양상이다.
코소보 독립 승인은 유럽연합 내부도 갈라놓고 있다. 스페인·그리스·키프로스·슬로바키아·불가리아·루마니아 등은 자국의 분리주의 세력을 자극하거나 자국에 불통이 튀는 것을 우려해, 코소보 독립을 승인하지 않을 태세다. 유럽연합 27개 회원국 가운데 독립 인정 쪽은 20개국 정도라고 <에이피>(AP) 통신은 전했다.
|
코소보의 독립선언 뒤 러시아의 요청으로 17일 소집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끝난 뒤 요한 페르베커 벨기에 유엔주재 대사가 유럽 국가들의 입장을 밝히고 있다. 뉴욕/AFP 연합 코소보의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