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7.27 22:42 수정 : 2008.07.27 22:42

<제이미스 파울(fowl) 디너스>(사진)

‘제이미스 파울 디너스’
양계과정 잔인성 방영
유통업체에 개선 촉구

인기 요리사인 진행자가 살아 있는 병아리들을 무대 위에서 가스로 질식사시킨다. 요리 쇼를 기대한 방청객은 흠칫 놀란다. 진행자는 함께 무대에 선 업계 관계자에게 “산란계의 수평아리는 세계 어디서나 이 같이 처리하는 게 일반적”이며 “처리된 병아리는 동물원이나 사료공장에 보내진다”는 사실을 확인한다.

지난주 오스트레일리아의 <네트워크10>이 방영한 <제이미스 파울(fowl) 디너스>(사진)에서 식욕을 떨어뜨리는 장면은 이뿐만이 아니다. 다닥다닥 늘어선 철창 속에 서로 부대끼며 하루 한 개꼴로 알을 낳는 산란계 암탉들은, 스트레스를 받다 못해 깃털이 숭숭 빠졌다. 가만히 기계처럼 알만 낳는 이른바 ‘배터리 닭장’의 실태다.

미국에서 품종개량된 육계는 부화한 지 39일 만에 큰 닭이 돼 ‘생을 마감하는 시점’을 맞는다. 몸집의 성장 속도를 감당 못 하는 다리 탓에 걸음도 시원치 않아, 마치 ‘다우너’ 소들처럼 넘어지고 주저앉는다. 분뇨가 처리되지 않아 생긴 축사의 암모니아로 닭들은 다리에 화상을 입었다. 제목의 ‘파울’(fowl)은 ‘닭’을 의미하지만 ‘역겹다’(foul)는 의미가 숨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요리 쇼는 끝날 무렵에야 나온다. 공장형으로 키워진 닭과, 야외에 풀어놓고 키운 닭의 달걀·고기를 비교 시식해보는 것이다. 방청객들은 “방목한 쪽이 더 맛있다”고 입을 모은다.

이 프로그램은 영국의 <채널4> 방송이 지난 1월 제작·방영했다. ‘저가 닭고기·달걀 퇴출’이란 야심을 내건 인기 요리사 제이미 올리버(33)와 다른 두 명의 요리사가 잇따라 출연·제작한 시리즈 <빅 푸드 파이트>의 한 꼭지다. 프로그램의 반향은 컸다. 방영 석 달 뒤 일간 <가디언>은 “방목형 양계장 달걀의 소비량이 축사 생산 달걀 소비량을 앞질렀다”고 보도했다. 올리버와 휴 펀리위팅스톨 등 출연 요리사들은 대형 유통업체들과 직접 마주 앉아 닭고기·달걀 유통의 개선을 요구하기도 했다. 이들은 지난 6월 동물학대방지협회(RSPCA) 상을 받았다.

<제이미스…>의 상륙 소식에 긴장한 오스트레일리아 닭고기협회는 프로그램 방영에 앞서 “우리는 영국과 양계 환경이 다르다. 닭장에서 키운 육계는 없다”는 해명자료를 냈다. 한국에서도 <제이미스…>는 지난 주말 한 케이블방송에서 소개됐다.

올리버는 2005년에도 <제이미스 스쿨디너>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 급식 개선 캠페인에 앞장섰다. 충분하지 않은 재정으로 냉동식품과 정크푸드에 익숙해진 아이들의 입맛에 맞는 식단을 개발한 공로에, 그는 ‘모든 영국인이 사랑하는 요리사’로 불린다.

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