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타임스>도 수사관들 말을 인용해 알카에다 이념에 동조해 유럽 내부에서 자생적으로 성장한 조직들이 이번 사건을 저질렀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러한 조직들이 유럽내 다른 도시들에서도 비슷한 공격을 할 것이라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19~20세기 중동 지역을 지배했던 영국에는 전체 인구의 4%인 200만명의 무슬림이 있으며, 전문가들은 이 가운데 1만~1만5000여명은 알카에다 이념을 지지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탈리아 밀라노 등 유럽 다른 도시 공격가능성 우려
전 런던 경찰청장 “영국 출신 3000명 빈 라덴 캠프 훈련” 단서 확보에 총력=경찰은 각 역의 폐쇄회로 텔레비전 화면을 정밀히 분석하고 있으며, 특히 사건 현장에 있던 시민들이 찍은 휴대전화 영상이나 비디오, 사진 등을 보내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런던 경찰청이 이를 위해 개설한 특별 전자우편에는 이미 1700명 이상이 각종 제보를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10일 런던 히드로 공항에서는 영국인 3명이 ‘테러방지법’에 근거해 체포됐으나 하룻만에 석방됐다. ‘유럽 알카에다 비밀조직’의 성명에서 다음번 공격 대상으로 지목된 이탈리아의 밀라노에서는 주말에 대대적인 검문검색이 벌어져 142명이 체포됐다고 <비비시>가 보도했다. 대부분은 마약복용, 절도, 불법체류 등의 혐의로 체포됐지만, 한 범죄자의 집에서는 1.5㎏의 폭약이 압수되기도 했다. 폴란드 국가안보부(ABW)는 10일 남동부 루블린에 거주하는 파키스탄 출신 영국 국적자가 런던 테러와 관련돼 있다는 정보에 따라 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박민희 기자 minggu@hani.co.kr
부시·블레어 ‘정치적 수혜자’ 국민 테러 불안감 고조
이라크전 지지 높아질듯 토니 블레어 영국 총리와 조지 부시 미 대통령이 런던 테러의 ‘정치적 수혜자’가 되고 있다. 이번 사건은 미국인들의 테러 불안감을 고조시켜 부시 대통령과 이라크전에 대한 지지를 높여줄 것으로 보인다고 10일 <로스앤젤레스타임스>가 보도했다. 일시적일지 모르지만 미국의 분위기가 9·11동시테러 직후로 돌아갔다는 것이다. 또 테러조직에 대한 불안감을 일깨움으로써, 시민권을 제한해서라도 잠재적인 테러 용의자를 색출하려는 패트리어트법을 재입법하도록 도울 것이라고 이 신문은 내다봤다. 9·11 테러 직후 제정된 패트리어트법은 올해 의회의 갱신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시민 기본권을 제한한다는 비판 때문에 의회를 통과할 수 있을지 불투명했었다. 여론조사기관 갤럽의 프랭크 뉴포트 편집주간은 “모든 여론조사 자료는 부시 대통령의 최대 강점이 테러리즘 대응에 있다는 걸 보여준다”며 “런던 테러는 사람들에게 부시의 강점이 무엇인지를 다시 일깨워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단기적으로 부시와 그의 정책 지지율이 올라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테러 이후 블레어 영국 총리의 지지도도 급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기관 ‘유고브’가 8일 영국 성인 1854명을 상대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블레어 총리에 만족한다는 응답이 49%로 불만족(42%)보다 높았다고 <데일리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블레어 총리 지지도가 부정적에서 긍정적으로 반전된 것은 지난 5년 만에 처음이다. 논란이 돼온 테러예방용 전자신분증 도입에 대한 찬성도 일주일 전보다 5% 상승해 50%에 이르렀다. 워싱턴/박찬수 특파원 pcs@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