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7.25 19:05 수정 : 2005.07.25 19:07

오는 9월18일로 다가온 독일 총선을 앞두고 적-녹 연정에 참여하고 있는 녹색당도 본격적인 선거 준비에 들어갔다. 그러나 현재로선 7년만에 야당으로 돌아가야 할 형편이다. 야당인 기민련이 여론조사에서 압도적으로 선두를 달리고 있어 사민당만을 연정 파트너로 생각하는 녹색당의 정권 참여 기회는 거의 없어 보인다.

녹색당이 연정에 참여해 일궈낸 환경정책 성과는 자타가 공인하고 있다. 특히 환경세는 자원절약 측면에서뿐 아니라, 국가재정에도 기여하는 효자였다. 기민련도 환경세는 그대로 유지하겠다고 발표하는 등 일부 정책은 다음 정권에서도 이어질 전망이다. 녹색당은 건축법 등 각종 법률에 생태보호 조항들을 추가하고, 원자력발전소의 점진적 폐쇄정책을 관철하는 등 괄목할 만한 개혁을 이뤄냈다.

25년 전 녹색당이 창당될 당시 상황은 독일 좌파연합당이 창당한 현재 상황과 비슷하다. 1980년 당시 헬무트 슈미트 총리가 이끄는 사민당 정부가 미국과 함께 핵무기를 독일의 동·서 경계선에 배치하는 일을 추진하면서 반전 평화운동에 불이 붙었다. 이는 당시 새로운 좌파 개혁당인 녹색당 창당의 원동력이 됐다. 반전 평화운동세력, 환경운동가, 펑크족, 사회주의자 등 다양한 세력들이 녹색당의 주축이다. 이런 상황에서 1982년 정권은 사민당에서 기민련으로 넘어갔고, 1983년 녹색당은 의회에 입성했다.

지난 22일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정당 지지율은 기민련이 43%로 사민당의 26%를 크게 앞지르고 있다. 좌파연합과 녹색당은 각 10%다.

그러나 녹색당의 장래가 그리 밝은 편은 아니다. 우선 ‘68세대’를 기반으로 녹색당의 지지층은 대졸 고소득층에 집중돼 있다. 30살 이하 젊은이들과 60대 이상 노인층에서 지지율은 5% 이하로 뚝 떨어진다. 게다가 ‘환경’ 이슈는 높은 실업률, 이슬람테러세력 위협 등의 현안에 밀리는 상황이다. 사회복지 축소개혁에 동조하면서 사회적 평등을 지향하는 이미지도 손상됐다. 게다가 가장 대중적 정치가인 요슈카 피셔 외무장관까지 최근 비자 스캔들에 연루돼 고민이 겹쳐 있는 상황이다.

베를린/한주연 통신원 juyeon@gmx.de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