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투표서 신규건설 반대 63%
2020년 가동목표 건설사업 차질
체르노빌형 원전 폐쇄뒤 EU가입
전력수출국서 추락…GDP 15%↓
러시아 등 에너지 의존도 절대적
발트해에 면한 유럽의 소국 리투아니아가 신규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둘러싸고 깊은 고민에 빠졌다.
<로이터> 통신은 15일 전날 리투아니아에서 치러진 신규 원전 건설에 대한 찬·반 국민투표에서 반대 의견을 밝힌 이들이 과반수를 훌쩍 뛰어넘는 62.7%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찬성 의견은 그 절반 정도인 34.0%였고 투표율은 정족수인 50%를 조금 넘는 52%였다. 이날 함께 치러진 1차 총선(비례대표 선거)에서도 그동안 원전 건설을 추진해온 여당 ‘조국 연합-리투아니아 기독민주당’이 패배하고 좌파인 노동당과 사회민주당이 승리를 거뒀다. 이들은 오는 28일 치러지는 2차 투표(지역구별 선거)에서도 승리해 과반수를 점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에 따라 리투아니아 정부가 일본 히다치 제작소와 함께 2020년 가동을 목표로 북동부 도시 비사기나스에서 건설하려던 130만㎾짜리 원전 건설 사업은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일본 <엔에이치케이>(NHK) 방송은 “이번 투표는 구속력이 없지만 총선에서 원전 건설에 비판적인 야당이 승리한 만큼 계획이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외신들은 러시아 등 강대국에게 둘러싸인 발트해의 소국 리투아니아에게 신규 원전 건설은 국가의 운명을 좌우할 수도 있는 매우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하고 있다. <에이피>(AP) 통신은 “인구가 겨우 300만명에 불과한 리투아니아는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60%를 외국에서 수입하고 있고, 천연가스는 전량을 러시아에서 비싼 값을 주고 사들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안 그래도 사사건건 러시아의 눈칫밥을 먹으며 살아야 하는 리투아니아인들에게 ‘에너지 자급’은 무엇보다 절실한 국가적 과제인 셈이다.
|
리투아니아 신규 원전 건설 예정지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