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12.18 18:50 수정 : 2007.01.31 17:31

가스프롬 이사진 11명 가운데 현 정부 관료

가스프롬, 러시아 자원무기화의 상징으로
러 고위관료 이사 겸직 ‘사실상 국가조직’
가스가격 무기화…정치 외교 전방위 활용

“가스프롬이…”, “가스프롬은…”, “가스프롬의….”

러시아 공룡 에너지 기업 가스프롬이 러시아 ‘에너지 무기화’의 첨병으로 주목받고 있다. 시가총액 세계 3위 기업인 가스프롬은

최근 20조원 규모의 세계 최대 가스전 개발계획인 ‘사할린-2’ 개발계획의 지분 50%를 확보했다. 가스프롬의 실질적 소유주인 러시아 정부가 압력을 넣어 영국 로열더치셸이 ‘사할린-2’의 지분 55% 가운데 30%, 일본 미쓰이와 미쓰비시는 지분의 10%씩을 각각 내놓도록 한 데 따른 것이다.

가스프롬은 또 벨로루시와 그루지야에게 2007년부터 가스값을 2~4배 인상하겠다고 통보하고, 이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내년 1월1일부터 가스공급을 중단하겠다고 으름짱을 놓고 있다.

가스프롬 공화국=가스프롬은 전세계 가스 생산량의 20%, 러시아 천연가스 생산량의 90%를 차지한다. 세계 27개국에 가스를 수출하고, 직원만 33만명에 이른다. 가스프롬이 상트페테르부르크에 건설하려는 높이 300m의 사옥은 가스프롬 야망의 상징이다.

국영 가스프롬에 주목하는 것은 거대한 덩치 때문만이 아니다. 그 뒤에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버티고 있기 때문이다. 외신들은 가스프롬의 가격인상 요구 등을 러시아 정부의 이웃국가 ‘길들이기’와 ‘자원무기화’로 보고 있다.

단적으로 가스프롬의 드미트리 메드베네프 회장은 푸틴 대통령의 부비서실장 출신이자, 러시아의 현 제1 부총리다. 러시아와 앙숙인 그루지야의 주라브 노가이델리 총리는 13일 가스프롬의 가격 인상요구를 “정치적 협박”이라고 비난했다. 유럽은 전체 천연가스 소비의 25%를 러시아에 의존하다보니, 지난 11월에는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에서 “러시아가 천연가스 카르텔을 만들려 한다”고 우려하는 보고서를 내기도 했다.

?5s‘국가독점자본주의’= 러시아 정부의 가스프롬 운영행태를 두고, 에너지 무기화라는 비판과 함께 ‘크레믈식 국가독점자본주의’, ‘기업형 국가’라는 평가도 나온다. 러시아에서는 정부 고위관료 15명이 원자력, 금속, 무기, 항공 등 6개 기업의 회장 등을 맡고 있다.

특히 러시아는 옛소련 해체 뒤 민영화 때 부정부패 등 심각한 부작용을 겪었고, 이것이 국유화와 중앙정부의 강한 통제논리로 작용하고 있다. 푸틴 대통령이 89개 지방을 극동관구 등 7개 관구로 나눠 대통령 전권대표를 파견해 지방을 장악한 것과 같은 흐름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이재영 부연구위원은 “푸틴 대통령은 전략산업을 다루는 국유기업들을 정부가 통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러시아는 에너지를 경제뿐 아니라 국제정치에서 외교적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세계 에너지 시장에서 천연가스 비중이 늘어나면서 가스프롬을 앞세운 러시아의 힘은 더욱 맹위를 떨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지난달 27일 “경제성과를 높이고 부패를 막으려면 국가 소유가 커지는 추세가 계속되서는 안된다”며 “정부 개입이 기업의 발전과 시장을 왜곡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김순배 기자 marcos@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