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4.12 10:42 수정 : 2007.04.12 10:42

이란이 사실상 주도하는 상황에서 사우디 아라비아와 한국, 중국 및 일본 기업들도 자본 참여해 주요 석유 수송로인 말라카 해협을 우회하는 송유관과 관련 정유 설비를 건설하는 프로젝트가 추진되는 것으로 11일 전해져 주목된다.

파이낸셜 타임스와 AP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서북부 케다 주정부가 관여하는 이 사업은 주 서부 연안의 얀과 켈란탄주 동부 연안에 각각 1개의 정유소를 건설하는 것과 양측을 잇는 320km의 송유관을 설치하는 것이 골자다. 케다 주정부 대변인은 이와 관련해 정유소 건설을 위한 컨소시엄 2개와 송유관 설치를 위한 별개 컨소시엄이 구성됐다고 밝혔다.

소식통들은 파이낸셜 타임스에 모두 145억달러 가량이 투입되는 프로젝트 자금의 약 70%가 외자로 충당된다면서 이란국영석유회사가 이중 "상당 부분"을 부담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밖에 사우디, 중국, 한국 및 일본 기업들도 참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주정부 대변인은 그러나 참여 해외기업을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얀에 건설되는 정유소 프로젝트에 이란국영석회사와 말레이시아 기업인 SKS 벤처스가 참여한다면서 SKS가 최근 모두 160억달러 가량이 투입되는 이란 남부 가스전 2개소 개발 계약을 체결했음을 상기시켰다.

그러나 말레이시아국영석유회사는 이번 프로젝트에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설명됐다. 반면 케다와 켈란탄 두 주정부는 자기네 지역에 설치되는 정유소 지분을 5%씩 갖게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통들은 오는 8월 공사가 시작될 예정이라면서 2010년께 하루 80만배럴을 처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가운데 10% 가량의 물량은 싱가포르가 관장하게될 것으로 설명됐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전세계 석유 수송의 절반 가량이 통과하는 전략 포인트인 말라카 해협과 관련 석유 설비가 친미 국가인 싱가포르의 통제를 받는 점이 말라카해협 우회 송유관과 정유 설비를 만들게된 정치적 동기라고 분석했다. 왜냐하면 미국이 이란에 본격적인 제재를 가해 이곳을 통과하는 이란을 비롯한 중동석유 수송에 차질이 빚어질 경우 이 루트에 대부분의 원유 공급을 의존하는 중국과 한국 및 일본 등의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쿠알라룸푸르 소재 아세암뱅크 관계자는 파이낸셜 타임스에 "우회 송유관 건설로 싱가포르와 마찰이 생길 것 같지는 않다"면서 "투입자본 조달에도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이 이란을 본격 제재할 경우 싱가포르가 동참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는 점이 이 프로젝트 실행을 가속화시키는 효과도 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AP는 그러나 송유관 통과 지역이 환경 문제를 일으킬 소지가 많다면서 세계야생생물기금(WWF) 말레이시아 관계자들이 현재 프로젝트가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조사중이라고 전했다.

선재규 기자 jksun@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