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재무, 800억불 亞공동기금 실무논의 합의
미국발(發) 금융위기의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선진국과의 공조를 통한 전방위 대응에 나섰다. 일본과는 역내 위기관리를 위한 800억 달러 규모의 공동기금 조기 설립을 추진하기로 합의하는 한편, 선진국간의 통화 스와프 대상에 한국을 포함한 신흥 시장국을 포함하는 문제를 놓고 미국 측과 협의를 진행중이다. 국제통화기금(IMF) 총회 참석차 미국 워싱턴 D.C를 방문중인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은 12일(현지시간) 나카가와 쇼이치(中川昭一) 일본 재무상과 한.일 재무장관 회담을 갖고 역내 위기대응 체계인 800억 달러 규모의 '치앙마이 이니셔티브(CMI)' 다자화 공동기금을 조기에 설립하기 위한 논의를 가속화해 나가기로 했다. CMI는 1990년대 말 대규모 금융위기를 겪은 아시아 국가들이 향후 위기시 통화 스와프 등으로 공동 대응하기 위해 2000년 5월 아세안+3 재무장관 회의에서 합의한 것이다. 강 장관은 "일본도 CMI 다자화 공동기금을 조속히 설립하자는데 우리와 의견을 같이하고 있다"면서 "실무 단계에서부터 논의를 시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과 일본은 금융위기와 이에 따른 경기둔화에도 공동 대응하기 위해 재정정책을 포함한 정책협의를 강화하기로 하는 한편, 오는 11월26일에는 일본 도쿄(東京)에서 '한.중.일 거시경제.금융안정 워크숍'을 공동 개최해 위기 대응에 보조를 맞춰 나가기로 했다. 양국은 중국과도 의견 조율을 거쳐 필요시 한.중.일 재무장관회의 개최를 검토하는 한편, 회담 외에 콘퍼런스 콜 등으로도 수시 정책협의를 진행할 방침이다. 강 장관은 이와 관련 "미국, 일본 외에 중국과도 곧 베이징(北京)에서 만나 아시아 통화기금(AMF)를 조기에 조성하는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정부는 금융위기 대응을 위해 선진국간에 시행되고 있는 통화 스와프 대상에 한국이 포함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강 장관은 이날 '긴급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회의' 기조연설에서 "선진국에서 발생한 금융위기로 신흥시장국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이러한 신흥시장국의 금융시장 불안이 다시 선진국으로 전이되는 현상(reverse spill-over)을 감안할 때 회원국들 간 정책공조에 신흥 시장국들도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지난달 29일 세계금융시장에 달러의 유동성 부족을 막기위해 유럽중앙은행(ECB), 캐나다, 영국, 일본, 호주 등 8개국 중앙은행과 함께 달러화의 일시적 통화 교환예치(중앙은행간의 통화 스와프) 한도를 기존의 2천900억 달러에서 6천200억 달러로 늘렸지만 신흥국들은 제외된 상태다. 강 장관은 이날 워싱턴 현지에서 한국 특파원들과 만나 "미국 재무부와 통화 스와프 문제를 논의했다"면서 "구체적인 액수는 거론하지 않고 통화 스와프가 G7 외의 다른 나라에도 확대돼야 한다는 차원에서 협의한 사실이 있다"고 밝혔다. 김재홍 특파원.박대한 기자 jaehong@yna.co.kr (워싱턴=연합뉴스)
기사공유하기